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국내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한 유동추론 훈련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23년까지 검색된 논문 중 PRISMA에 의해 총 14편의 논문을 분석자료로 선정하고, 이들로부터 81개의 효과크기를 추출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훈련 효과의 이질성이 높은 원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하위그룹에 대한 메타 ANOVA 분석을 추가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추론 훈련의 전체 효과크기는 0.76으로 중간 효과크기를 보였다. 둘째, 훈련 내용에 따른 분석 결과, 언어 영역은 0.74로 중간 효과크기, 시공간 영역은 0.80로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으나 훈련 내용에 따른 유의한 통계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훈련 대상자의 학업성취수준에 따른 분석 결과, 학업성취 중, 하 수준의 아동에 대한 훈련 효과가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훈련 대상자의 인지적 특성별로 분석한 결과, 장애 아동에게 훈련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에게 중간크기에서 높은 수준의 효과크기가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훈련 대상자의 연령(학년)에 따른 조절효과 분석 결과, 미취학아동에게 가장 큰 훈련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동추론 훈련의 효과를 통계적 및 객관적으로 분석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를 가지며 향후 효과적인 유동추론 훈련 프로그램 및 학습자료 개발을 위한 적절한 근거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중학생의 학습동기와 학교적응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motivation and school adapt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김누리, 정주선 p. 5-25

유동추론 훈련 효과의 메타분석 = A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fluid reasoning training 조은진, 이신동, 이상희, 김진호 p. 27-49

부모자녀관계, 학업성적, 그리고 창의성 간 인과관계 종단분석 = A longitudinal analysis of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parent-child relationships, academic achievement, and creativity 함영난 p. 51-73

과학고등학교 및 영재학교의 R&E(Research & Education) 현황 분석 및 프로그램 경험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 An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and education(R&E) in science high schools and science academics, and students' perceptions of program experiences 김연희 p. 75-102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테크놀로지 자아효능감과, 메타인지 전략, 그릿 간의 관계 분석 =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echnology self-efficacy, metacognitive strategy, grit a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literacy 김동례, 김효원 p. 103-125

유치원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 교사의 직무몰입 및 직무만족도와 삶의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eacher's job commitment, work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perceived by kindergarten teachers 문은식, 윤상문 p. 127-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