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

과제의 반복적인 수정과 실행을 통한 수학교사의 집단 창의성 개념에 대한 지식과 교수 활동의 변화 분석 = Promoting a mathematics teacher's knowledge and teaching activities in group creativity education through task modification and implementation / 정혜윤 1

Abstract 1

I. 서론 2

II. 이론적 배경 3

III. 연구 방법 5

1. 연구 참여자 및 연구 맥락 5

2. 과제 및 수업 설계 6

3. 자료 수집 및 분석 7

IV. 결과 분석 8

1. Cycle 1 : 집단 유창성과 집단 독창성에 초점을 둔 상호작용 유도 8

2. Cycle 2 : 집단 융통성과 집단 정교성 발현을 위한 상호작용의 중요성 인지 10

3. Cycle 3 : 집단 융통성과 집단 정교성에 초점을 둔 상호작용 유도 12

V. 결론 및 논의 15

REFERENCES 16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직관주의 수학 및 고전 수학 관점에 따른 교과서의 귀류법 증명에서 무리수 √2의 존재성 문제 = The problem about the existence of an irrational number √2 in the examples of the proof by contradiction in the textbooks according to the perspective of intuitionistic mathematics versus classical mathematics : '√2 is not a rational number' versus '√2 is an irrational number' : ‘√2는 유리수가 아니다’ 대 ‘√2는 무리수이다’ 이기돈 p. 1-18

보기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초등학생들의 산술-대수 구조 감각 탐색 = Exploring elementary students' arithmetic-algebraic structure sense through latent profile analysis 김정원 p. 19-41

보기
미국과 한국 초등 예비교사의 노티싱 역량과 유형 비교 = Comparison of noticing abilities and type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손태권, 여승현 p. 43-58

보기
수학적 모델링 과정에서 수학적 기호의 의미작용 분석 = Analysis on semiosis of mathematical signs in the mathematical modeling 박진형 p. 59-77

보기
과제의 반복적인 수정과 실행을 통한 수학교사의 집단 창의성 개념에 대한 지식과 교수 활동의 변화 분석 = Promoting a mathematics teacher's knowledge and teaching activities in group creativity education through task modification and implementation 정혜윤 p. 79-97

보기
비구조화된 의사결정형 문제해결에서 초등수학영재 집단의 창의적 시너지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f creative synergy of elementary mathematics gifted students group in ill-structured decision-making problem solving 이지영, 김민경 p. 99-126

보기
활동 이론에 입각한 디지털 테크놀로지 활용 수학 수업의 역동성 분석 = An analysis of the dynamics of mathematics classes with digital technology based on activity theory 구예리, 김래영 p. 127-152

보기
수학학습 정의적 영역을 이용한 대학 이공계 전공 예측 기계학습 분석 = Machine learning analysis for predicting college STEM majors with the affective domain in learning mathematics 가연석, 황지현 p. 153-170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