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에서는 대학기본역량진단의 평가기준을 Astin의 학습자 중심의 수월성 관점에 터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Astin(1993)의 I(Inputs)-E(Environment)-O(Outcomes) 모형과 김형란, 김석우(2019)가 평가지표 분석 연구에서 제시한 분석틀을 연구의 방향에 맞추어 재구성하였다. 평가기준 분석의 주 자료는 1, 2, 3주기 대학기본역량진단의 일반대학 평가지표이며, 평가지표는 성격에 따라 I(교육적 투입)-E(학습 환경)-O(교육 성과) 과정과 대학의 기능 및 역할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대학기본역량진단의 평가지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이 학습 환경 조성에 투자하고,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제도적 안정 도모를 지원하는 교육정책 제안이 필요하다. 둘째, 향후 수행되는 대학평가는 교육의 수월성에 대한 담론을 기반으로 한 대학평가를 지향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한다. 셋째, 대학진단은 학습자 중심의 수월성 가치에 방점을 두고 상승적 변화를 이끄는 지원 기제로 역할 해야 한다. 넷째, 대학평가의 정책적 프레임과 내용의 합치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다섯째, 향후 대학평가기준은 학습자 중심의 수월성 개념을 바탕으로 미래 대학교육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는 근거로 활용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valuation criteria of the university basic competency assessment for universities based on Astin's learner-centered ease of use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the I (Inputs) - E (Environment) - O (Outcomes) model of Astin (1993) and the analytical framework proposed by Kim Hyung-ran and Kim Seok-woo (2019) in their study on the analysis of evaluation indicators were reorganiz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study. The main data for the analysis of the evaluation criteria are the indicators of the 1st, 2nd, and 3rd cycles of the university basic competency assessment, and the evaluation indicators are categorized into I (educational inputs), E (learning environment), and O (educational outcomes) processes and university functions and roles according to their nature. The policy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analysis of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the basic competency assessment of universitie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propose education policies that support institutional stability so that universities can invest in creating a learning environment and create value. Second, future university assessments should be conducted in a way that builds on the discourse of ease of access to education. Third, university assessment should serve as a support mechanism that leads to synergistic change by focusing on the learner-centered value of ease. Fourth, the policy frame and content of university assessment need to be harmonized. Fifth, future university assessment criteria should be used as a basis for providing directions for future university education based on the concept of learner-centered ease of use.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국내 기업교육에서 활용되는 'SPOT'의 개념화 연구 = The conceptualization research of SPOT utilized in domestic corporate education 이성철, 김민정 p. 1-23

NIE 지도사의 신문활용교육 지도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NIE instructors' experiences in teaching 'newspaper in education' : a phenomenological study 김향란, 이인회 p. 25-47

한국과 미국의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난민 교육 내용 분석 = Representations of refugees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from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 공식 교육과정에 재현된 난민의 이미지 박선운, 안소현, 박윤경 p. 49-77

Astin의 모형을 활용한 대학기본역량진단 (2015~2021) 평가기준 분석 = Analyzing the evaluation criteria of the basic competency assessment for universities (2015~2021) using Astin's model 김수지, 정제영 p. 79-104

느린 학습자의 문화예술 체험 활동을 통한 문화예술교육 지원 방안 연구 = A study on supporting cultural and arts education for slow learners through cultural and arts experience programs 전영은, 정문성 p. 105-124

영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self-leadership) 연구 동향과 과제 = A review of research trends in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leadership (2009-2023) : 2009-2023년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김진경, 남연정, 이은경 p. 125-148

초등돌봄교실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요인 분석 = An analysis on school factors affecting participation in elementary school care programs 김건희, 김혜민, 정제영 p. 149-168

일본의 몬스터 패어런츠 현상의 정책적 대응에 대한 문헌 고찰 = A review on the policy response of monster parents in Japan 곽소영, 김가영, 정제영 p. 169-188

공감적 발문에 기초한 하브루타 프로그램이 예비교사의 학습몰입에 미치는 효과 = Havruta program effects based on empathic questioning on pre-service teachers' flow in learning 정선영, 레티푸엉 p. 189-216

학업에 어려움을 겪는 대학생의 성격, 동기, 정서, 행동특성과 학업성취도 수준과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ity, motivational, emotion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undergraduate students experiencing academic difficulties and their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 focusing on the case of S University : S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희원, 최영진, 이미숙 p. 217-238

비대면 교육방식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이해와 실행 = Elementary teachers’ understanding and implementation of non-face-to-face education 이진숙 p. 239-263

예비교사의 수업설계 역량 증진을 위한 생성형 AI기반 맞춤형 피드백의 효과 탐색 = Exploring the effects of generative AI-based personalized feedback for enhancing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competencies 이가영, 허선영 p. 265-2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