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일본에서 발생한 ‘몬스터 패어런츠’ 문제를 분석하여 우리나라에서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학부모의 교권 침해 현상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리나라의 교권 침해 현상과 유사하게 발생하였던 일본의 몬스터 패어런츠 문제를 어떻게 분석하고 전망하는지 살펴보고자 2007년 이후 발간된 일본의 연구 논문 중 몬스터 패어런츠를 주제로 다룬 연구 11건을 대상으로 그 사회적 배경, 정의, 유형과 특징, 원인, 대응 방안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몬스터 패어런츠’는 교사에게 불합리한 요구나 이기적인 민원을 반복하여 제기하는 보호자들을 일컫는 말로서, 2000년대 초반부터 사회문제로 대두되어 최근까지 이어지고 있으며, 이 현상의 원인으로 교육개혁, 교권 약화 등이 지목되었다. 일본 정부는 민원 대응 매뉴얼 배부, 전문가로 구성된 민원 대응기구 설치 등 다양한 대응 정책을 제시하였으나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현재 한국의 교육 현장은 2000년대의 일본과 매우 유사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에 한국 정부는 일본의 사례를 참고하여 국내 교육 현장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바탕으로 한 적극적인 정책을 개진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nalysis and forecasting of the issue of 'monster parents' in Japan. The focus is on 11 research papers published since 2007 that deal with the 'monster parents' topic. The study analyzes the social background, definition, types, characteristics, causes, and response strategies of monster parents. The findings indicate that 'monster parents' are guardians who repeatedly make unreasonable or frequent and continuous demands. The phenomenon of 'monster parents' started appearing in the early 2000s and has continued to be a social issue to the present day. The emergence of monster parents is attributed to factors such as educational reforms and the weakening of teachers' rights. The Japanese government has implemented various response policies, including the distribution of complaint response manuals and the establishment of expert-led complaint response bodies, but these have been deemed insufficient solutions. The educational landscape in Korea currently exhibits a pattern similar to that of Japan in the 2000s. Therefore,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consider Japan's case and develop proactive policies based on a detailed analysis of the domestic educational field.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국내 기업교육에서 활용되는 'SPOT'의 개념화 연구 = The conceptualization research of SPOT utilized in domestic corporate education 이성철, 김민정 p. 1-23

NIE 지도사의 신문활용교육 지도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NIE instructors' experiences in teaching 'newspaper in education' : a phenomenological study 김향란, 이인회 p. 25-47

한국과 미국의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난민 교육 내용 분석 = Representations of refugees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from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 공식 교육과정에 재현된 난민의 이미지 박선운, 안소현, 박윤경 p. 49-77

Astin의 모형을 활용한 대학기본역량진단 (2015~2021) 평가기준 분석 = Analyzing the evaluation criteria of the basic competency assessment for universities (2015~2021) using Astin's model 김수지, 정제영 p. 79-104

느린 학습자의 문화예술 체험 활동을 통한 문화예술교육 지원 방안 연구 = A study on supporting cultural and arts education for slow learners through cultural and arts experience programs 전영은, 정문성 p. 105-124

영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self-leadership) 연구 동향과 과제 = A review of research trends in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leadership (2009-2023) : 2009-2023년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김진경, 남연정, 이은경 p. 125-148

초등돌봄교실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요인 분석 = An analysis on school factors affecting participation in elementary school care programs 김건희, 김혜민, 정제영 p. 149-168

일본의 몬스터 패어런츠 현상의 정책적 대응에 대한 문헌 고찰 = A review on the policy response of monster parents in Japan 곽소영, 김가영, 정제영 p. 169-188

공감적 발문에 기초한 하브루타 프로그램이 예비교사의 학습몰입에 미치는 효과 = Havruta program effects based on empathic questioning on pre-service teachers' flow in learning 정선영, 레티푸엉 p. 189-216

학업에 어려움을 겪는 대학생의 성격, 동기, 정서, 행동특성과 학업성취도 수준과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ity, motivational, emotion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undergraduate students experiencing academic difficulties and their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 focusing on the case of S University : S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희원, 최영진, 이미숙 p. 217-238

비대면 교육방식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이해와 실행 = Elementary teachers’ understanding and implementation of non-face-to-face education 이진숙 p. 239-263

예비교사의 수업설계 역량 증진을 위한 생성형 AI기반 맞춤형 피드백의 효과 탐색 = Exploring the effects of generative AI-based personalized feedback for enhancing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competencies 이가영, 허선영 p. 265-2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