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는 바깥놀이 평가 및 문제해결활동이 유아의 문제해결력과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O시에 소재한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48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집단 유아를 대상으로 바깥놀이 평가 및 문제해결활동을 8주 동안 실시하였다. 바깥놀이 평가 및 문제해결활동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유아의 문제해결력과 사회적 유능감 검사를 실험 처치 전과 후에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바깥놀이 평가 및 문제해결활동은 유아의 문제해결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문제의 발견 및 진술, 문제해결에 대한 아이디어 제안 및 적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문제해결에 대한 결론짓기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둘째, 바깥놀이 평가 및 문제해결활동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정서조절, 정서성, 또래관계 기술과 사회적 규범 이해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주도의 놀이 평가 및 문제해결활동의 교육적 가치를 확인하고, 유아·놀이중심의 놀이 평가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데 시사점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utdoor play evaluation and problem-solving activities on children’s problem-solving ability and social compet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8 5-year-old children enrolled in a kindergarten located in O-si, Gyeonggi-do. In this study, outside play evaluation and problem-solving activities were conducted for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for 8 weeks.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outdoor play evaluation and problem-solving activities, the child’s problem-solving ability and social competence test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al treatment.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outside play evaluation and problem-solving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children’s problem-solving ability. Looking at each sub-area, i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discovery and statement of the problem, the suggestion and application of ideas for problem solving, and did not affect the conclusion of the problem solving. Second, outdoor play evaluation and problem-solving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Looking at each sub-area, it had a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regulation, emotionality, peer relationship skills, and social norm understand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implications for confirming the educational value of child-led play evaluation and problem-solving activities and suggesting the direction of play evaluation centered on children and play.*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8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