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바깥놀이 평가 및 문제해결활동이 유아의 문제해결력과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O시에 소재한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48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집단 유아를 대상으로 바깥놀이 평가 및 문제해결활동을 8주 동안 실시하였다. 바깥놀이 평가 및 문제해결활동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유아의 문제해결력과 사회적 유능감 검사를 실험 처치 전과 후에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바깥놀이 평가 및 문제해결활동은 유아의 문제해결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문제의 발견 및 진술, 문제해결에 대한 아이디어 제안 및 적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문제해결에 대한 결론짓기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둘째, 바깥놀이 평가 및 문제해결활동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정서조절, 정서성, 또래관계 기술과 사회적 규범 이해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주도의 놀이 평가 및 문제해결활동의 교육적 가치를 확인하고, 유아·놀이중심의 놀이 평가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데 시사점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utdoor play evaluation and problem-solving activities on children’s problem-solving ability and social compet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8 5-year-old children enrolled in a kindergarten located in O-si, Gyeonggi-do. In this study, outside play evaluation and problem-solving activities were conducted for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for 8 weeks.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outdoor play evaluation and problem-solving activities, the child’s problem-solving ability and social competence test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al treatment.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outside play evaluation and problem-solving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children’s problem-solving ability. Looking at each sub-area, i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discovery and statement of the problem, the suggestion and application of ideas for problem solving, and did not affect the conclusion of the problem solving. Second, outdoor play evaluation and problem-solving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Looking at each sub-area, it had a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regulation, emotionality, peer relationship skills, and social norm understand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implications for confirming the educational value of child-led play evaluation and problem-solving activities and suggesting the direction of play evaluation centered on children and play.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아버지와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 상호작용 척도 개발 = Development of a father-child rough and tumble play interaction scale 김상겸 p. 1-30

빅데이터를 통해 바라본 유아교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 = Social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big data : a study on big data analysis for supporting early childhood teachers : 유아교사 지원을 위한 빅데이터 분석 연구 고은영 p. 31-59

어머니의 책 읽기 상호작용과 스마트미디어 중재가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maternal book-reading interactions and smart media mediation on preschoolers’ school readiness 김선호, 차미숙 p. 61-84

어린이집의 조직건강성이 영아교사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home daycare center organizational health on infant teachers’ professionalism : the mediating effect of flourish : 행복플로리시의 매개효과 남수정, 이유미 p. 85-103

초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애착이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multiple mediation of autonomy and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early adolescent depressive symptoms : 자율성과 자아존중감의 다중매개효과 여종일 p. 105-123

다문화가정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지위, 감독적 양육, 부모자녀 상호작용의 구조관계 분석 = A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socioeconomic status, parental monitoring, parent-child interactions related to children’s social competence in multicultural contexts 노보람 p. 125-143

아버지의 가족친화제도 이용 정도, 자녀 양육 참여, 일-가정 양립 갈등 간의 구조관계 분석 =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 degree of using the family-friendly policies of fathers with young children, involvement in childrearing, and work-family balance conflict 김낙흥, 김다영 p. 145-166

바깥놀이 평가 및 문제해결활동이 유아의 문제해결력과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outdoor play evaluation and problem-solving activities on children’s problem-solving ability and social competence 이정미, 전유영 p. 167-191

임산부를 위한 온라인 예비부모교육의 실태 및 요구 = A study on reality and demand of online pre-parent education for pregnant women 황수민, 곽승주 p. 193-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