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감각조절능력 향상을 위한 비대면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아동의 감각 조절 문제와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변화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비대면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2021년 4월 13일부터 5월 25일 동안 매주 1회, 1시간씩 진행되었으며, 종료 2주 후 사후 회기를 진행하였다. 비대면 부모교육 프로그램 중 감각식이는 실행연구 절차에 따라 수행되었으며, 아동과 부모에 미치는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질적자료와 양적자료를 사용하였다. 질적자료는 문서자료, 관찰 및 인터뷰, 동영상, 아동 작업수행 프로파일 및 일과표를 통해 수집되었으며, 양적자료는 양육스트레스 검사, 양육효능감 척도, Sensory Profile 2를 통해 수집되었다. 아동은 감각식이 프로그램을 통해 문제행동의 감소를 보였으며, Sensory Profile 2 검사 결과 모든 영역에서 원점수의 감소를 보였다. 프로그램 실행 후, 부모는 아동 학업지도, 문제행동, 부모 교육의 효과에 대해 긍정적 태도 및 관점 변화를 나타냈다. 부모 양육스트레스 검사는 74점에서 71점으로 감소하였으며, 양육효능감 척도 점수는 모든 영역에서 향상하였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을 통해 교육을 받은 부모의 양육 태도, 관점, 스트레스 및 효능감 지수의 긍정적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부모의 경험과 성찰이 담긴 비대면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mote parent education on improving sensory regulation abilities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as well as reducing parents' parenting stress and enhancing their parenting efficacy. The remote parent education program was conducted once a week for an hour, starting from April 13, 2021, and ending on May 25, 2021.A follow-up session was held two weeks after the program's completion. The implementation of a sensory diet, following the action research process, served as the intervention method. The study collected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ata to assess the changes in both children and parents. Qualitative data were obtained through document analysis, observations, interviews, videos, and assessments of child work performance profiles and schedules. Quantitative data were collected using measures such as the parenting stress test, parenting efficacy scale, and Sensory Profile 2. The child showed a reduction in problem behavior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he sensory diet, as indicated by decreased scores in the Sensory Profile-2 across all domains. Moreover, parents exhibited improved attitudes and perspectives towards the effects of academic advising for their children, managing problem behavior, and participating in parent education. The parenting stress test scores decreased from 74 to 71 points, and the parenting efficacy scale scores improved in all domains. These findings confirmed the positive changes in parenting attitudes, perspectives, stress levels, and efficacy indices among parents who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 program. The inclusion of parents' experiences and reflections in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added significance to this study.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협력교수 기반 사회정서 프로그램이 통합학급 유아의 사회성 기술과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co-teaching social emotional program on social skill and emotional regulation of young children in an inclusive class 조경현, 박지연 p. 1-32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아동의 부모에게 감각통합 중심의 비대면 부모교육 프로그램 적용 = Applying a sensory integration-focused remote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a mixed-methods case study : 혼합 연구방법 사례연구 최준수, 최윤미, 금효진, 이경아, 정민예 p. 33-56

자폐성 장애 학생을 위한 상황이야기 국내 중재연구 고찰 = A review of an intervention literature about social stories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김지혜, 전상신 p. 57-89
Designing a roadmap for th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in the graduate schools of special education to stabilize the qualifications of lifelong education professionals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전문인력 자격 안정화를 위한 특수교육대학원의 교육과정 운영 로드맵 설계 Kim, Young Jun, Kwon, Ryang Hee p. 91-147

초등학생의 기본심리욕구 만족과 좌절의 잠재유형 분류와 심리사회 적응능력의 차이 및 양육행동의 예측효과 탐색 = Classification of latent types of elementary stud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and exploration of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social adaptation abilities and the predictive effect of parenting behavior 권미나, 이진숙 p. 149-165

유아기 아버지의 양육행동, 유아의 또래 놀이상호작용과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의 학업 수행능력 간의 종단적 관계분석 =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parenting behavior in infancy,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 and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ability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 longitudinal mediation analysis using LGM :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종단매개효과 검증 장효은 p. 167-185

투렛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가 경험하는 자녀의 양육 및 교육적 어려움과 그에 따른 지원요구 = A study on the parenting and educational challenges experienced by mothers of children with Tourette syndrome and their support needs 신윤희, 김수연, 박미란 p. 187-214

구체적-반구체적-추상적 단계의 명시적 교수가 자폐성장애 학생의 덧셈 연산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an explicit CSA steps of instruction on the addition ability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박진영 p. 215-235

핵심감정이 대인관계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nuclear feelings on interpersonal intimacy : the mediating effects of adult attachment, emotional support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 성인애착, 정서적 지지 및 정서표현 양가성을 매개로 배장희, 박재경, 김잔디, 김은영, 장정주 p. 237-259

청소년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on the tendency of SNS addiction in adolescents : sequential dual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and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 자기개념명확성과 사회비교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박지연, 김정민, 박초희, 노현진 p. 261-279

청소년 자녀를 둔 모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심리적 통제에 미치는 영향 = Influence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of mothers with adolescent child on psychological control : dual mediating effects of maternal child-based worth and trait anxiety : 자녀-수반 자기가치감과 특성불안의 이중매개효과 박한솔, 김정민, 김규리 p. 281-295

온라인 수업 설계원리를 적용한 ZEPETO(제페토) 활용 체육수업이 자폐성 장애 학생의 도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utilizing ZEPETO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with online class design principles on challenging behaviors in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류규태 p. 297-322

긍정적 행동지원팀에 참여한 특수교사와 관리자의 개별중재 경험과 내실화 방안 = The experiences and internalization of individualized interventions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administrators who participated in the positive behavior supports team : a grounded theory approach : 근거이론방법을 중심으로 한 분석 강영모, 강윤모, 이형준, 손승현 p. 323-354

1인칭 관점 비디오모델링과 직접교수를 활용한 TouchMath 중재가 자폐성 장애 중학생의 수감각 수행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TouchMath intervention using point-of-view video modeling and direct instruction on the number sense performance of a middle school studen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유도현, 김은경 p. 355-3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