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교육에 확산되고 있는 소프트웨어 교육의 효과성을 확인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역량 진단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와 대학교육과정을 토대로 소프트웨어 역량의 기본개념과 구성요소를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검사 문항을 개발하여 전문가 검토를 통해 내용타당도 검증을 완료하였다. 문항분석과 구인타당도 분석결과, 24개의 전공역량 문항과 37개의 일반역량이 확정되었다. 구체적으로, 전공역량은 컴퓨팅 사고력과 프로그래밍 능력, 데이터 분석역량, 창의적 문제해결 역량, 소프트웨어 융합역량이, 일반역량은 자기관리역량, 갈등해결역량, 초협업역량, 현장적응역량, 상호문화이해역량, 소프트웨어 공학윤리역량으로 확인되었다. 개발된 소프트웨어 역량은 5점 리커트척도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고 피험자 능력과 문항난이도의 분포도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진단도구는 전공역량과 일반역량 모두 .95로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향후 본 검사는 대학생의 소프트웨어 역량 수준을 확인하고 관련 교과목의 효과성을 파악하는 데 활용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소프트웨어 교육 질 관리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온라인 자동 평가 시스템을 이용한 비선형 탐색 문항의 개발과 적용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non-linear search questions using an online judge system 정상수, 고학능, 이영준 p. 1-11

메타버스 교육 환경의 학습자 학습 평가 모델 연구 = A study on the learning evaluation model for learners in the metaverse educational environment 이충섭, 안성진 p. 13-23

고등학생의 인공지능 교육 인식 및 요구 분석 = Analyzing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nd needs in AI education 장윤재, 백재순, 유수진 p. 25-36

데이터 시각화 자료 활용 토론 수업이 초등학생의 데이터 리터러시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discussion classes using data visualization materials on data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주애리, 김미량 p. 37-47

중학생을 위한 인공지능 과학 융합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scienc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 focusing on conceptual change in sound through voice classification learning and perception chan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 음성분류학습을 통한 소리 개념변화와 인공지능에 대한 인식변화를 중심으로 김미나, 김성백 p. 49-62

온라인 마케터 전문가 양성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연구 = A study on developing an educational program for training expert online marketers 장승영 p. 63-73

초등학생을 위한 AI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분석 = Development of AI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analysis of learning effectiveness 백수현, 유지원 p. 75-87

웹 기반 파이썬 개발 환경과 메타버스 플랫폼 = Web-based Python development environment and a metaverse platform 송은우, 박용한, 하선우, 조민수, 정기철 p. 89-98

메타포 분석을 활용한 전문대학 공학계열 학생의 캡스톤 디자인 인식 연구 = A study on the capstone design perceptions of college engineering students' using metaphor analysis 김수현, 윤우영 p. 99-107

인공지능 윤리 교육을 위한 윤리적 딜레마 시나리오 내용 개발 및 효과성 분석 =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analysis of ethical dilemma scenario for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education : inquiry of moral machine alternatives : Moral machine 대안의 탐구 홍은정, 오경선 p. 109-119

대학생 대상 소프트웨어역량 진단 도구 타당화 연구 = Validating a diagnostic tool for assessing software competency in college students 이윤선, 김은수, 이현숙, 이세희 p. 121-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