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논문은 낭만주의 시기 서정주의의 영향을 받으며 글을 쓰기 시작했던 플로베르가, 『마담 보바리』를 쓰는 동안 그 영향에 대해 반성하고 비판하면서 비개인성으로 대표되는 반서정주의의 미학을 수립하고, 이를 소설 속에서 구체적으로 구현하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는 청소년기에는 라마르틴과 뮈세와 같은 낭만주의 시인들을 이상적인 모델로 생각하며, 시인으로서 등단하는 것을 꿈꾸었다. 그렇지만 그는 당시 유행을 맹목적으로 추종하기보다는, 거리를 두면서 문학사적인 흐름 속에서 자신을 객관적으로 인식하려고 노력했다. 특히 뒤가종 선생의 지도를 받으며, 문학사적인 관점에서 낭만주의와 고전주의를 종합하고, 비평적인 자의식을 형성할 수 있었다. 이후 서정주의에 대한 분석과 비판은 『마담 보바리』를 쓰는 동안 루이즈 콜레와의 편지를 주고받으며 집중적으로 이루어졌다. 그는 루이즈 콜레를 비롯한 당시 작가들이 추구하는 여성적인 문체를 비판하며, 프랑스 문단에 감상주의를 퍼트린 주범으로 라마르틴과 뮈세를 지목했다. 이 시인들이 문학을 오로지 개인적인 감정을 표현하는 배출구, 더 나아가 상투적인 언어로서 독자의 감정을 조작해서 개인적인 이익을 취하는 수단으로 이용한다고 비판하면서, 이와 반대되는 비개인성의 원칙과 예술을 위한 예술을 창작의 원칙으로 천명했다. 플로베르는 서정주의에 대한 비평을 『마담 보바리』 안에 내재화시킨다. 그는 서정주의를 직접적으로 비판하는 것이 아니라, 그 언어들을 소설 속에서 모방하거나 인용하고, 독특한 교차구조와 은밀한 아이러니를 통해, 그 틀에 박힌 언어들을 무의식적으로 반복하는 인물들의 어리석음을 폭로한다.

Flaubert a commencé à écrire sous l’influence du lyrisme pendant l’époque romantique. Toutefois, lors de la rédaction de Madame Bovary, il remet en question et critique cette influence, optant plutôt pour une esthétique anti-lyrique caractérisée par l’impersonnalité. Dans sa jeunesse, il admirait les poètes romantiques tels que Lamartine et Musset, nourrissant le rêve de devenir poète lui-même. Cependant, au lieu de suivre aveuglément les tendances de son époque, il choisit de prendre du recul et de se positionner objectivement dans le contexte de l’histoire littéraire. Sous la tutelle de son professeur, Gourgaud-Dugazon, Flaubert synthétise le romantisme et le classicisme dans une perspective historique, développant ainsi une conscience critique. Son examen et sa critique du lyrisme s’intensifient pendant sa correspondance avec Louise Colet durant la rédaction de Madame Bovary. Flaubert critique le style féminin de sa Muse ainsi que celui d’autres écrivains romantiques. Il reproche à Lamartine et à Musset d’avoir propagé le sentimentalisme dans la littérature française, les accusant d’utiliser la littérature comme un exutoire pour leurs émotions personnelles et de manipuler les émotions du lecteur à travers un langage cliché à des fins personnelles. Contre cette tendance lyrique, Flaubert défend le principe de l’impersonnalité et de l’art pour l’art. Cependant, la critique de Flaubert envers le lyrisme est intériorisée dans Madame Bovary. Plutôt que de critiquer directement le lyrisme, il imite et cite son langage dans le roman, exposant ainsi la bêtise des personnages qui inconsciemment répètent ces clichés. Ce procédé s’exprime à travers une structure chiasmatique et une ironie subtile.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탈중심의 시각으로 보는 술라이만의 항해기 = Le voyage de Sulaymân vue par une perception socioculturelles : Société et cultures dans le monde maritime : 해역세계 속의 사회와 문화 정남모 p. 1-28

로제 카이와의 놀이 이론으로 본 뱅슈 카니발의 질(Gilles) = Carnaval de Binche et Gilles vu à travers la théorie du jeu de Roger Callois : De prêtre magique à gardien de la tradition : 마술적 사제에서 전통의 수호자로 윤선자 p. 29-59

프랑스의 초기 재즈 수용 과정과 1920년대 원시 재즈(Jazz Primitif)의 탄생 = Le premier processus de réception du jazz en France et l’invention du jazz primitif dans les années 1920 : centré sur la médiologie et la théorie de la médiaton : 매개학의 매개 이론을 중심으로 최희진 p. 61-89

플로베르의 반서정주의 = Anti-lyrisme de Flaubert : des œuvres de jeunesse à Madame Bovary : 청년기에서 『마담 보바리』까지 정지용 p. 91-131

미셸 투르니에의 콩트 시학 = La poétique du conte chez Michel Tournier : à travers la translucidité du genre : 장르의 반투명성(translucidité)을 중심으로 권서원 p. 133-158

조르주 상드의 소설 『앙드레』에 나타난 식물적 지혜에 관한 연구 = La sagesse végétale dans le roman d’André de George Sand 김미진 p. 159-181

프랑스의 1990 철자법 개혁과 한국의 FLE 학습자를 위한 교육 방안 = Réforme de l’orthographe du français de 1990 et ses implications pédagogique pour les apprenants coréens de FLE 박은미 p. 183-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