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대한민국 保守 0년' 보수, 다시 시작해야 한다 배진영 p. 58-63
"국민의힘, 광주 망월동이 아니라 광주 산업단지로 가야" : '헌신하는 새로운 보수' 모습 보여준 光州 출신 청년 의사 박은식 이경훈 p. 64-83
"중국 침투 대응하려면 애국 시민들이 윤 대통령 보호해야" : 원로 작가 복거일이 보는 4·10 총선 평가와 대한민국의 앞날 [인터뷰] 복거일 [인터뷰이] ; 장원재 [취재] p. 84-95
한동훈의 앞날은 : 2026년 상반기 국회의원 보궐선거 '미니 총선'에서 재기할까 권세진 p. 96-101
늙은 건물주와 퇴물 판검사의 '인질 정치'는 이제 그만! : 젊은 동양철학자의 통렬한 보수 정치 비판 임건순 p. 102-114
1964년 골드워터 참패 속에서 레이건 발굴, '보수혁명' 성공 : 미국 보수는 어떻게 부활했나 조평세 p. 116-127
아베노믹스 통해 지지자들에게 현실적 이익 제공 : 총선 참패 33개월 만에 재집권한 일본 자민당 유민호 p. 128-136
우파, 장기적 헌신 없이 '반짝 운동'으로 공천·공직 얻으려 해 : 25년 시민운동가가 본 좌우파 시민운동 도희윤 p. 138-143
"후회? 추호도 없습니다. 계속 증언할 겁니다" : 유동규에게 국회 장악한 이재명 두렵지 않나 물었더니… [인터뷰] 유동규 [인터뷰이] ; 김광주 [취재] p. 144-152
한국에 보수당이 있나? : 22代 총선이 던진 질문 趙甲濟 p. 154-165
이-조 연대, 국힘 몰락 속 90년대생들이 온다 : 주목 받는 총선 화제의 당선인들 박지현 p. 166-176
득세하는 '반윤(反尹)'은 '김무성·유승민' 전철 밟을까? : 8년 만에 또 '대통령 탄핵' 위기 맞은 국민의힘 박희석 p. 177-179
'호남 필패론'에 가스라이팅… 민주당 내 비주류로 전락 : '호남 정치'의 소멸 박희석 p. 180-193
"이재명 대표의 가장 치명적 아킬레스건은 선거법 위반 재판이지만…" : '이재명 사법리스크' 어떻게 될까? 최우석 p. 194-203
'의대 증원'으로 '한동훈 vs 이재명' 대신 '윤석열 심판론' 재점화 : 프레임으로 보는 4·10 총선 결과 분석 김형준 p. 204-213
"대한민국 분열의 원인은 경제 양극화… 與野 모두의 책임" : 김광두 국가미래연구원장의 시대 조언 [인터뷰] 김광두 [인터뷰이] ; 정혜연 [취재] p. 214-230
우상호·박범계가 발의한 특검법엔 '문체부 블랙리스트' 수사할 근거 없었다! 권세진 p. 232-242
"北 수령과 MBC는 동일범… 誤報 역사 다큐멘터리 만들 것" : 성폭력 누명 벗은 탈북 작가 장진성 [인터뷰] 장진성 [인터뷰이] ; 박지현 [취재] p. 243-249
"한국 기술-사우디 자본 결합, 아시아의 두 마리 용으로" : 박주선 한·사우디산업통상협회장 [인터뷰] 박주선 [인터뷰이] ; 박희석 [취재] p. 250-260
"호텔 결혼식은 못 하더라도 프러포즈만큼은…" : 호텔 프러포즈, 새로운 결혼 문화? 김세윤 p. 262-266
李炳浩 전 국정원장의 질문: "왜 문재인 정권은 국정원을 조준했나" : 이병호 전 국정원장의 《좌파정권은 왜 국정원을 무력화시켰을까》를 읽고 趙甲濟 p. 268-279
"文 정부, 사학 '식물인간' 만들어… 자주성 되찾아야" : 홍택정 문명교육재단 이사장 [인터뷰] 홍택정 [인터뷰이] ; 김세윤 [취재] p. 280-288
'비대면 스마트 과외 플랫폼'으로 미국 사교육 시장 도전 : 튜터링 플랫폼 美 수출하는 안민우 대표 [인터뷰] 안민우 [인터뷰이] ; 정혜연 [취재] p. 290-303
"두 손 모아 '셰셰'하는 이재명 모습, 이완용이 떠올랐다" : 《불통의 중국몽》 쓴 주재우 경희대 교수 [인터뷰] 주재우 [인터뷰이] ; 김광주 [취재] p. 320-331
"트럼프, 북한을 강력하게 압박(push against)해야"(마샤 블랙번 트럼프인수위 부위원장) : 2016 트럼프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발언록 권세진 p. 332-343
"1940년 영국에 처칠이 있었듯 1950년 한국에 이승만이 있었다" : 한미동맹의 산파역 월터 로버트슨이 본 정치가 이승만 신용석 p. 344-364
이란, 중·러와 밀착하되 문화 통제 완화로 청년층 달래기 나서 임명묵 p. 366-378
지천명 맞은 치과병원… '최초'이자 '최고'로 또 다른 50년 역사 쓴다 : 정영수 연세대 치과대학병원장 [인터뷰] 정영수 [인터뷰이] ; 박지현 [취재] p. 380-387
"약물 복용과 중단을 반복하는 것이 현실적인 치료법" 정혜연 p. 388-396
요양 서비스 수요자와 제공업체를 디지털로 연결 : 이진열 한국시니어연구소 대표 [인터뷰] 이진열 [인터뷰이] ; 정혜연 [취재] p. 398-411
"딸에게 아빠 장례식장에 이장희의 '그건 너' 틀어달라 부탁했죠" : '대통령 염장이' 유재철 대한민국장례문화원 대표 [인터뷰] 유재철 [인터뷰이] ; 오동룡 [취재] p. 412-431
의 천만 관객 돌파, 어떻게 보아야 하나"> "이제 '천만 영화'에는 이렇다 할 이유가 없는 경우가 많다" : <파묘>의 천만 관객 돌파, 어떻게 보아야 하나 이문원 p. 432-443
형형색색의 물고기 심장을 가로채는 비범한 피아노 사냥꾼 : 30대 피아니스트의 선두주자 '다닐 트리포노프' 연주력 연구 김태완 p. 444-456
난세(亂世)에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준 명재상 이한우 p. 542-5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