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

영남의 젖줄 낙동강 1,300리 이야기 6 : 살아서 꿈틀대는 땅 낙동강 삼각주(三角州洲) / 김추윤 1

하천은 침식, 운반, 퇴적작용으로 삼각주를 만든다 1

김정호의 청구도(1834)와 대동여지도(1861)에 나타난 낙동강 삼각주 3

살아 움직여 꿈틀거리는 땅 낙동강 삼각주 6

명지도, 을숙도, 대저도 등 낙동강의 주요 삼각주 8

1) 을숙도(乙淑島) 10

2) 명지도(鳴旨島) 10

3) 대저도(大渚島) 11

4) 맹금머리등 12

5) 백합등 12

6) 도요등 12

7) 대마등 13

8) 장자도 13

9) 새등[신자도] 13

10) 진우도(眞友島) 13

낙동강의 상부 삼각주와 하부 삼각주 14

낙동강 삼각주 을숙도는 철새의 쉼터이자 낙원 16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자연친화적 하천복원이란 한승완 p. 12-17

보기
다면적·종합적 하천관리를 위한 하천공간 복원 방향 김지성 p. 18-24

보기
금강 중류, 공주시에 꽃피운 백제 문화 오순제 p. 26-42

보기
영산강 수계 : 고막원천, 지석천, 함평천, 황룡강 정해옥 p. 44-47

보기
계류의 요정=새미 : 우리 하천 우리 물고기 이학영 p. 48-51

보기
영남의 젖줄 낙동강 1,300리 이야기. 6, 살아서 꿈틀대는 땅 낙동강 삼각주(三角州洲) 김추윤 p. 52-68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