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

소설 가르치는 로봇 : 생성 AI를 활용한 문학교육 교수·학습 전략과 사례 = Fiction-teaching robot :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for literary education using generative AI / 노대원 1

국문 초록 1

Ⅰ. 서론 : 생성 AI 이후 교육의 미래는? 2

Ⅱ. 인간-AI의 협력 모델과 문학교육 6

1. 휴먼 인 더 루프 7

2. 공동 창의성 7

3. 켄타우로스와 사이보그 9

Ⅱ. 생성 AI 활용 교수학습 전략과 문학교육 12

1. AI 활용 학습법 : 교실 AI의 7가지 접근 방식 12

2. AI 활용 교수법 : AI 활용 5가지 교수 전략 20

3. AI 활용 문학교육 방안 22

Ⅳ. 결론 : 생성 AI를 활용한 문학교육의 비판적 전망 25

참고문헌 28

Abstract 30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정지용 시편의 회화성 연구 = A study on the painting character of poet Jeong Ji-yong 권성훈 p. 7-33

보기
소설 가르치는 로봇 = Fiction-teaching robot :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for literary education using generative AI : 생성 AI를 활용한 문학교육 교수·학습 전략과 사례 노대원 p. 35-65

보기
김일엽, 회향(廻向)과 불교적 실천으로서의 글쓰기 = Kim Il-yeop, writing as Hoehyang(廻向) and Buddhist practice 문경연 p. 67-90

보기
조오현 선시의 보살 사상 연구 = Exploration on the idea of Bodhisattva of Cho Oh-hyun's Seon Sijo 박금성 p. 91-112

보기
불교적 상상력과 민중의식의 모색 = Exploring Buddhist imagination and people consciousness : focusing on Kim Sung-dong's Mandala : 김성동의 『만다라』를 중심으로 백지연 p. 113-135

보기
백석 시의 묘사적 주체와 정치적 자기 재현 양상 = A study on the descriptive subject of Baek Seok’s poetry and the aspect of po[l]itical self-representation 신동옥 p. 137-169

보기
김유정 소설에 나타난 분배와 상호부조의 (불)가능성 = The (im)possibility of distribution and mutual assistance in Kim Yu-jung’s novels : focusing on Nodaji, Gold, and Gold Picking Bean Field : 「노다지」, 「금」, 「금 따는 콩밭」을 중심으로 염창동 p. 171-200

보기
시와 음악 사이 = Between poetry and music : the liminality of the modern children’s songs : 근대동요의 경계적 성격 오문석 p. 201-225

보기
허영자 시의 상징체계 연구 = A study on the symbolic system of Heo Young-ja's poetry 오형엽 p. 227-253

보기
인공지능 글쓰기와 소설의 미래 = The future of artificial intelligence writing and novels : focusing on Park Geum-san's full-length novel, 'Novel Written by AI' : 박금산 장편소설 『AI가 쓴 소설』을 중심으로 정재훈 p. 255-275

보기
강릉지역 바다를 활용한 K-영상콘텐츠 개발 방안 = Development of K-visual image contents using sea in Gangneung 정진이 p. 277-303

보기
근대적 일상의 전개와 김기림 시의 일상성 연구 = Study of the unfolding of modern daily life and everydayness in Kim Ki-rim’s poetry 조동범 p. 305-327

보기
박경리의 『애가』를 통해 본 멜로드라마, 젠더화된 사랑, 그리고 연민 = Rebirth of melodrama : a solidarity of gendered love and compassion : focusing on Aega by Park Kyung-ni 최경희 p. 329-352

보기
‘사회주의적’ 가족로망스와 젠더 = A study on 'socialist' family romance and gender : focusing on the juvenile novels of 『Byeolnara』 and 『Sinsonyeon』 : 『별나라』와 『신소년』의 소년소설을 중심으로 최은혜 p. 353-376

보기
이연주 시에 나타난 ‘사제 되기’ 주제의 작동 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theme of becoming-a-priest in Lee Yeon-ju’s poetry 최희진 p. 377-419

보기
김유정 문학의 자기 서사와 자기 돌봄의 윤리 = Self-narrative and the ethics of self-care in Kim Yu-jeong’s literature 홍단비, 심재욱 p. 421-451

보기
영화 속 인공지능 캐릭터와 포스트휴먼의 미래 = Artificial intelligence in movies and the future of post-humans 홍숙영 p. 453-476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