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1
신라의 『무구정광대다라니경』 연구사 검토 / 박광연 1
목차 1
Ⅰ. 들어가며 : 다라니, 다라니경에 대한 관심 1
Ⅱ. 1960~2010년 『무구정광대다라니경』 연구의 흐름 5
Ⅲ. 『무구정광대다라니경』 사례 종합 및 남는 의문 13
Ⅳ. 나가며 : 신라인이 선택한 『무구정광대다라니경』 17
참고문헌 20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경주 고운 최치원 기념관 건립 기본구상 | 김창섭 | p. 5-46 |
|
보기 |
발천(撥川), 왕궁의 금천(禁川)에서 인재 양성의 물길로 : 신라와 조선시대 발천의 성격과 변화 | 김형석 | p. 47-67 |
|
보기 |
신라의 『무구정광대다라니경』 연구사 검토 | 박광연 | p. 69-89 |
|
보기 |
신라 왕경 사찰의 형성과 전개 | 박임관 | p. 91-109 |
|
보기 |
경주예술인, 경주에서의 삶의 흔적 | 선애경 | p. 111-132 |
|
보기 |
경주 황남동 474-1번지 유적에 관한 고찰 | 오승연 | p. 133-151 |
|
보기 |
신라 향가(鄕歌)의 장소성과 활용 방안 제언 | 유문식 | p. 153-168 |
|
보기 |
홍양호(洪良浩)의 제문(祭文) 기록 : 경주지역 기우제문(祈雨祭文) 번역자료 | 이채경 | p. 169-204 |
|
보기 |
일제강점기 경주지도에 보이는 고지형(古地形)과 문화유산(文化遺産) | 최민희 | p. 205-253 |
|
보기 |
수운 최제우선생의 사상 형성과 가암최씨 | 최석규 | p. 255-286 |
|
보기 |
영분공파 파조(派祖) 재실 건축을 위한 사례 고찰 : 事例 齋室의 配置와 建築特徵 | 최영기 | p. 287-319 |
|
보기 |
꽃과 나무의 생태특성(生態特性)에서 찾아보는 인생지침(人生指針) 소고(小考) | 최재영 | p. 321-350 |
|
보기 |
아크릴(acrylic) 문인화(文人畵) 장르 : 작가의 작품 중심으로 사의적 표현 | 최영조 | p. 357-363 |
|
보기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