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

실과 교과에서의 수학적 연결성의 구현 방안에 관한 연구 : 바느질 용품 만들기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mathematical connectivity in practical arts subjects : focusing on making fashion accessories / 최경은 ; 유현주 1

요약 1

Ⅰ. 서론 2

1. 필요성 및 목적 2

2. 연구 내용 3

3. 연구의 제한점 4

Ⅱ. 이론적 배경 4

1. 수학적 연결성과 수학교육에의 의의 4

2. 수학적 연결성의 분류와 연결성 수준 5

3. 바느질교육의 의의와 수학적 연결성 8

4. 실과교육과정 바느질교육의 내용체계, 성취기준, 학습요소 9

Ⅲ. 연구의 실제 11

1.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 교과용 도서에 나타난 실과와의 연결성 내용 분석 11

2.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실과 교과용 도서에 나타난 수학과의 연결성 14

3. 실과 교과에서의 수학적 연결성의 구현 방안-바느질을 이용한 용품 만들기를 중심으로 17

Ⅳ. 요약 및 제언 24

참고문헌 26

Abstract 28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전통의식장소에서 공수하고 바르게 서는 동작' 소개 방향 = The introduction direction on 'correctly standing motions with politely two hands clasped together in the traditional ceremony places' 강민석 p. 1-26

보기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실린 시 제재 분석 = An analysis of poetry materials in elementary school Korean textbooks 김용재 p. 27-38

보기
죽음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독서 지도 = Reading instruction using picture books about death 최경희 p. 39-56

보기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문장 분석을 위한 준거 연구 = Study on criteria for sentence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고은성, 서현석 p. 57-65

보기
초등수학 교과서에서 원의 구성 요소 지도 방법 분석 = An analysis of teaching of the components of a circle in an elementary math textbook : focusing on the third grade circles unit : 초등학교 3학년 원 단원을 중심으로 고은성 p. 67-75

보기
패턴을 사용한 초등학교 수학 학습지도방안 = A study on the mathematics of elementary schools using patterns : focusing on the lower grade : 저학년 중심으로 서관석 p. 77-94

보기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검정 수학 교과서에서의 수학적 연결성 실태 분석에 대한 연구 = An analysis of mathematical connections in authorized math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focusing on mathematical external connection : 수학 외적 연결성을 중심으로 유현주 p. 95-112

보기
원소의 주기율표에 대한 연구 = Study of the periodic table of elements 고한중 p. 113-121

보기
초등과학 수업에서 효과적인 협동학습 적용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effective cooperative learning in elementary science classes 고한중 p. 123-130

보기
초등학교 과학 탐구실험에서 프로그램의 활용 = Application of program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exploration experiments 김태규 p. 131-145

보기
발견학습모형을 적용한 초등학교 5학년 '밤하늘에서 북극성을 어떻게 찾을까요?' 차시 활용 효과 = Research on effect of discovery learning model in the 5th grade unit 3 about 'how do we find the North Star in the night sky?' 채동현 p. 147-164

보기
발명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사교육 방안 탐색 = Exploration of teacher education measures to revitalize invention education 배선아 p. 165-177

보기
실과 교과에서의 수학적 연결성의 구현 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mathematical connectivity in practical arts subjects : focusing on making fashion accessories : 바느질 용품 만들기 중심으로 최경은, 유현주 p. 179-207

보기
의생활영역 중심 전통공예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이론적 고찰 = Theoretical exploration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s for Korean traditional crafts education focusing on clothing and textiles area 최경은 p. 209-231

보기
조성에서 무조성으로 전환기의 합창 양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ronological style of choral music transitioning from tonality to atonality 강효진 p. 233-246

보기
코일링 기법을 이용한 형태표현 = Form expressions using coiling technique 박진희 p. 247-260

보기
미술작품에서 하트 형상에 담긴 의미의 고찰 = A study of the meaning contained to the shape of a heart in works of art : by comparison between the artworks of the Samguk period and my works : 삼국시대의 미술품과 나의 작품의 비교를 통해서 장동호 p. 261-275

보기
조선시대 후기 산수화풍에 대한 검토 = A review of the landscape painting style of the late Joseon Dynasty 장지성 p. 277-301

보기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표현활동 지도방안 = Instructions for expressive activities of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강민수 p. 303-313

보기
운동과 골격근 = Exercise and skeletal muscle : training and muscle hypertrophy : 트레이닝과 근육 비대 권오성 p. 315-326

보기
신체 놀이 교육의 개념과 가치 탐색 = Exploring the concept and value of physical play education 송지환, 장용우 p. 327-336

보기
현장 교사의 교육대학 체육 실기 강의 특성 탐색 = An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field teachers' PE lectures to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 a trial to construct meaning of class practicality : 수업 현장성은 어떠한 것인가? 신기철 p. 337-349

보기
비만 아동의 혈관내피 기능 장애와 운동의 효과 = Vascular endothelial dysfunction and effects of exercise in obese children 장용우 p. 351-363

보기
학교에서 AI를 통한 개별화 교수법 실현 가능성 탐색 = Exploring the potential for AI to personalise teaching in schools 박승배 p. 365-376

보기
교육학 문헌에 나타난 교육관 분석 = Analysis of perspective on education appeared in educational literature 이승미, 박승배 p. 377-389

보기
교사 평가 체제 개선 연구 = A study on teacher evaluation system 박종필 p. 391-411

보기
경계선 지능 학생의 정서, 사회성 향상을 위한 중재 연구 분석 = An analysis for intervention for emotion and social skills of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function 서유진 p. 413-424

보기
공-산의 사유와 실천을 적용한 교육대학 수업 활동 = College of education class activities apply thinking and practice of the sympoiesis 정윤경 p. 425-435

보기
On some issues of English restrictive and non-restrictive relatives = 제한·비제한 영어 관계절 구문의 문제에 대한 소고 Kim, Kyeong-min p. 437-448

보기
Korean and the overt pronoun constraint = 한국어와 명시적 대명사 제약 Kim, Kyeong-min p. 449-462

보기
일상대화와 드라마 속 대화의 언어학적 특성비교 = Comparison of talks in drama and reality 김성식, 최송이 p. 463-474

보기
English binominal noun phrases = 영어 이중명사구문에 대한 코퍼스 데이터 기반 연구 : a corpus-based study Kim, Seongshik, Kim, Kyeong-min p. 475-488

보기
초등영어수업에서 문화지도 방법 = Culture education in primary English teaching 김성식 p. 489-498

보기
초등영어 수업 지도용 모바일 앱 선택 기준 = Mobile-app selection criteria to apply mobile apps for primary English classes 오마리아 p. 499-505

보기
수업 개선을 위한 초등영어 교사평가 방안 = A study on the methods for evaluation of elementary English teachers for class improvement 이종화 p. 507-517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