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 디지털 환경에서 다양한 온라인 정보소스가 소비자의 인지된 가치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 것이다. 특히, 본 연구는 기업, 제품 사용자, 인플루언서가 주도하는 정보에 따른 소비자의 인식과 행동을 분석하였다. 또한, 소비자의 연령대별로 정보소스의 영향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함으로써, 마케팅 전략에 있어 연령대를 고려한 타깃팅 접근법의 중요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최근 6개월 이내에 온라인에서 제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204부를 통계 분석에 사용하였다. 데이터 처리를 위한 분석도구는 SPSS 23.0을 사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델 분석에는 AMOS 23.0을 사용하였다[연구결과] 본 연구에서는 제품 사용자와 인플루언서가 주도하는 온라인정보는 인지된 가치와 구매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기업이 주도하는 온라인 정보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 연령에 따른 조절효과 분석 결과, 40세 이하는 주로 인플루언서가 주도하는 정보의 영향을 받는 반면, 40세 이상은 다른 소비자가 생성한 정보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디지털 시대에 소비자 행동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소비자들이 온라인 정보소스를 어떻게 활용하는지, 그리고 어떤 정보소스가 구매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이해는 마케터들이 보다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defines and compares the influence of different sources of online information a bout products on perceived value and purchase intention. Next, the study examines the moderating effect of online users’ age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sources of online product information and perceive d valu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value and purchase intentions, Particularly, this study compares the moderating effect of users aged under 40 years and over 40 years.
[Methodology] To verify the model of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targeting consumers who had purchased products online within the last 6 months. Out of a total of 220 questionnaires, 204 copies were finally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excluding 16 copies with internal inconsistency, insincere responses, or errors. As a data process, SPSS 23.0 was used as the analysis tool an d AMOS 23.0 was used to analyz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Findings] This study defined that product information driven by users and influencer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value and purchase intention, while online information driven by companies has no significant effect. The moderating effect of consumer age was found. Individuals aged 40 years and younger are primarily influenced by information driven by influencers, whereas those aged 40 and above tend to be more influenced by user-generated information, which affects their purchase intentions.
[Implications] Theoretical implications include the exploration of perceived value in digital contexts a nd the expansion of influencer and social marketing concepts. It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involving influencers and consumers in content creation to positively impact purchase decisions, offering a foundation for future research.*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