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1
藕益 智旭 『大學直指』의 '大學' 涵意 闡釋 / 朴素鉉 1
目次 1
1. 서론 1
2. 『四書藕益解』 書名에 나타난 藕益 智旭의 특징 3
3. 역대 주요 儒佛 '大學' 闡釋 7
3.1. 鄭玄과 朱熹의 해석 7
3.2. 王守仁의 해석 10
3.3. 憨山 德淸과 籍益 智旭의 해석 12
4. 결론 16
參考文獻 17
ABSTRACT 18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다중양식텍스트에서 ‘高’의 기호화 양상에 대한 인지적 분석 | 李哈娜, 朴應晳 | p. 5-24 |
|
보기 |
통시적 관점에서 바라본 ‘놓다’류 동사의 본질적 속성 | 韩丞 | p. 25-49 |
|
보기 |
중국어 텍스트 테마 전개 모형 연구 | 尹有貞 | p. 51-73 |
|
보기 |
浅析报刊中教育词语“上课”與“下课”的词义泛化 | 陈依诺, 金鉉哲 | p. 75-96 |
|
보기 |
치유적 글쓰기가 대학생의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중국 고전 문학을 중심으로 | 金宜貞, 表始衍 | p. 97-120 |
|
보기 |
허저족의 서사를 통해 본 ‘송혼(送魂) 샤먼’의 사회적 기능 | 朴修珍 | p. 121-146 |
|
보기 |
원 잡극 음식에 나타난 몽골문화와 그 의미 | 李보람 | p. 147-166 |
|
보기 |
藕益 智旭 『大學直指』의 ‘大學’ 涵意 闡釋 | 朴素鉉 | p. 167-184 |
|
보기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0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