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이 글에서는 『국가』 335b-e에서 소크라테스가 정의를 기술에 유비하면서 폴레마르코스를 논박할 뿐 아니라, 기술과의 유비로부터 정의의 기능을 다루는 일면을 고찰한다. 소크라테스는 ‘음악술과 승마술에 의해 그 기술에 반하는 결과가 생기지 않는 것처럼, 정의에 의해 정의에 반하는 결과가 생기지 않는다’는 논변을 펼친다. 이때 기술과의 유비는 ‘정의에 의해’의 의미에 대해 ‘기술에 의해’의 의미로 해석할 필요를 시사한다. 논자는 테크네 유비에서 소크라테스가 주시한 기술의 특징을 기술의 ‘기능’(ergon)으로 다룰 수 있는 일면을 탐색한다.
소크라테스가 논변에서 부각시킨 것은 ‘기술에 의해’ 기술의 ‘기능(ergon)’과 반대되는 결과가 도출될 수 없다는 점이다. 소크라테스가 ‘기능’을 중점적으로 다룬다는점에 주목할 적에 다음의 시사점을 고찰할 수 있다. (1) 폴레마르코스가 제시한 정의(justice) 규정은 기술로서 부적합하다. (2) 왜냐하면 ‘친구에게 이롭게 하고, 적에게 해롭게 한다’는 건 행위자의 친분 관계에 따라 ‘상반되는 결과를 도모하는 수단적 행위’에 불과할 뿐 기술로서의 일정한 기능(ergon)을 결여하기 때문이다. (3) 따라서 폴레마르코스의 정의 규정은 ‘기술로서의 정의’로서 받아들이기에 부적합하다는 점에서 논박될 수 있다. (4) 소크라테스가 폴레마르코스를 논박하면서 정의가 기술이 아님을 보여준다고 볼 수 없다.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호메로스 서사시 속 전통과 혁신에 대한 고찰 = Tradition and innovation in the Homeric epic : a study of "κλέος ἄφθιτον" in the Iliad : “불멸하는 명성”(κλέος ἄφθιτον)을 중심으로 | 김준서 | p. 1-22 |
|
|
『국가』 335b-e 논변에 관한 일고찰 = The ergon used by the analogy between justice and technē at 335b-e in Plato's Republic : 소크라테스는 폴레마르코스를 어떻게 설득했는가? | 김정신 | p. 23-40 |
|
|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에서 비극의 그럴듯함(eikos) = Tragedy and probability (eikos) in Aristotle's Poetics | 이윤철 | p. 41-77 |
|
|
카툴루스의 시에서 여행과 제국 = Journey and empire in Catullus | 차종호 | p. 79-102 |
|
|
바울 초기 생애 연대표 = The chronology of early life of Paul | 정기문 | p. 103-123 |
|
|
‘프시케와 쿠피도 이야기’ 텍스트에서 이미지로 = The story of Psyche and Cupid, from text to image | 손하누리 | p. 125-152 |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6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