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실시간 원격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진행하기 위한 지도자의 교수학습 역량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S대학교에 재학 중이면서 발달장애인 대상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진행해본 경험이 다년간 있으며, 실시간 원격의 형태로도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지도자로 참여한 경험이 있는 특수체육전공 대학원생이며, 총 4명으로 구성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활용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에 대한 귀납적 범주분석을 실시한 결과, 지도자의 역량을 크게 ‘교수학습 기반 역량’과 ‘교수학습 역량’으로 2개의 역량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교수학습 전반에 기초적이고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교수학습의 기반 역량’의 경우, 이를 구성하는 하위 능력으로 ‘발달장애인의 특수성에 대한 이해력’, ‘공감적 의사소통 능력’, ‘신체활동 종목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력’, ‘학습 테크놀로지 활용 능력’ 4가지를 포함하였다. 한편 ‘교수학습 역량’은 ‘프로그램 설계 역량’, ‘프로그램 실행 역량’, ‘프로그램 평가 역량’으로 하위 역량을 설정하였고, 이는 다시 역량 다발을 구성하는 지도자의 능력으로 세분화하였다. ‘프로그램 설계 역량’에는 ‘맞춤형 프로그램 구성 능력’, ‘난이도별 과제분석력’ 등을 포함한 4가지 능력을, ‘프로그램 실행 역량’에는 ‘대면보다 과장된 진행 능력’, ‘다양한 수업 모델 활용 능력’ 등을 포함한 5가지 능력을, ‘프로그램 평가 역량’에는 ‘현장 피드백 수합 능력’, ‘수업 성찰 및 보완 능력’을 포함한 2가지 능력을 범주화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발달장애인 대상 실시간 원격 신체활동을 지도하기 위한 지도자가 갖추어야 할 교수학습 역량에 대한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2급 장애인스포츠지도사 연수원 운영의 문제와 개선방안 = A study on problems and improvement in operating a training center for 2nd level disabled sports instructor 김용규 p. 1-10

장애인체육 활성화를 위한 예비특수체육지도자의 프로보노(Pro Bono) 참여 의도 모형 분석 = The analysis of model of intention toward participating in pro bono of pre-service adapted physical activity instructors for the activation of physical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 계획행동이론의 적용 김경진, 김태형, 오아라, 정정환 p. 11-18

지체장애인의 자아존중감과 건강지각의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가 신체능력지각과 신체활동 참여수준에 미치는 영향 = Testing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effects of self-esteem and health perception in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on perceived physical ability and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y 서은철, 김태형 p. 19-32

골볼 경기의 득점에 영향을 미치는 공격 수행 요인 = Offensive performance factors affecting scoring in goalball games 김호묵, 우상연 p. 33-41

지체장애인의 론볼 참여동기와 참여의미에 관한 근거이론적 접근 = Grounded theory approach on the motivation and meaning of participation in lawnball for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김정은, 최유경, 박진우, 이현수 p. 43-59

발달장애인 대상 실시간 원격 신체활동 프로그램 지도자의 교수학습 역량 탐색 = Exploring teaching competency of instructors of real-time remote physical activity program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김나연, 조영희, 김동일, 송진용 p. 77-98

장애인 가상현실 스포츠실 활성화 방안 탐색 = Exploring ways to revitalize virtual reality sports room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 applying the Delphi method(Delphi)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 델파이 기법(Delphi)과 계층적 의사결정 방법(AHP) 적용 김재학, 서홍근, 한성곤, 박종욱, 송석록 p. 61-76

장애인 스포츠의 게이미피케이션 요소 추출을 위한 텍스트마이닝 분석 = Text mining analysis to extract gamification elements in sports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오아라, 변현 p. 99-110

시각장애 청소년 지도자의 피지컬 리터러시 의미 탐색 = Exploring the meaning of physical literacy in youth leaders adolescents with visual impairment 구교만, 김춘종, 윤석민, 오아라, 김경진, 변정균, 서건우, 서은철, 김재화, 김도윤 p. 111-127

지체장애인의 생활체육 참여가 노화불안 및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participation in sports for all on aging anxiety and subjective quality of life 안치훈, 박진우, 배준우, 이현수 p. 129-141

장애인 생활체육 프로그램 참여가 중장년 지체장애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sport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on quality of life in middle-aged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y 이규진 p. 143-153

여성 장애인 스포츠 이슈 분석 = Issue analysis of women with disabilities in sport : an application of text mining : 텍스트 마이닝 활용 김예지, 김소연 p. 155-167

엘리트 휠체어 선수의 국제대회 출전 경험 탐색 = Exploring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on in international para sport competitions of elite wheelchair athletes 김지영, 최가람, 강민욱 p. 169-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