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후한 말기의 명의인 화타(華佗)에 의하여 고안된 오금희와 동물들의 스토리텔링을 결합하여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모방 표현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교육효과를 조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실행연구이며 연구방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프로그램은 관찰, 모방, 구성, 실천의 절차에 따라 구성되었으며, 차시별 학습은 동물들의 움직임 영상을 통한 관찰, 화타오금희 수행, 모둠별 움직임 구성, 발표, 체조실천의 단계로 5차시 구성하여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차시당 40분 진행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교육효과는 교사가 학습자들의 수업 과정과 현황을 작성한 일지 및 모둠 발표를 통해 정성평가하였다. 화타오금희를 활용한 모방 표현 수업 프로그램 수행 결과는 움직임에 동기를 부여한 스토리텔링, 복합성과 상호보완성의 효과를 보여 준 모둠활동, 무용과 타 교과와의 연계를 통한 학습 능력 향상의 세 가지 교육효과가 도출되었다. 더불어 학습자 수준에 맞는 다양하고 풍부한 교육자료 제공의 필요성과 초등학교에서 무용 수업의 단계적 적용과 지속적 학습을 위해 담임교사는 무용 교육에 대한 기본 소양 갖추기를 제언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Jessi, screen feminism, and the power of complaisant agency = 제시, 스크린 페미니즘, 그리고 호의적 행위주체성의 힘 Michael W. Hurt p. 3-32

화타오금희(華佗五禽戲)를 활용한 모방 표현 수업 프로그램 연구 = A study on mimetic expression theaching[실은 teaching] program utilizing Hwata Ogeumhui 김문선 p. 35-68

전주대사습놀이 콘텐츠 전략 연구 = A study on the contents strategies of Jeonju Daesaseumnori 김용호 p. 69-87

철아쟁의 생성과 확산 양상 = The creation and spread of steel-string Ajaeng Sanjo : the formation process of Yun Yunseok-je Shin Hyunsik-ryu steel-string Ajaeng Sanjo : 윤윤석제 신현식류 철아쟁 산조의 형성과정 신현식 p. 89-107

대학 무용표현력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도 조사 = A study on the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university dance education programs 오한별, 정승혜, 안병주 p. 109-128

이매방류 「호남검무」에 나타난 이매방 춤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Yi Maebang's dance in Yi Maebang's Honam Sword Dance 허여진 p. 149-170

전주대사습놀이의 활성화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Jeonju Daesaseumnori : focusing on "Jeonju Daesaseup Dyeon" : 「전주대사습뎐」을 중심으로 유영수, 이채현 p. 129-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