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논문은 윤대성 희곡 〈신화 1900〉(1982)에 나타난 정신병리적 상상력을 고찰하려는 시도이다. 이 극에서 정신질환은 개인의 손상으로 인한 사적인 질병을 넘어 부당한 사회구조에 연원을 둔 공적인 차원의 고통으로 형상화된다. 작중 ‘광인’으로 불리는 인물들은 제도화된 권력에 의해 낙인을 부여받고 사회로부터 추방당한 존재들이다. 주인공 김기창이 체현하는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는 오랜 억압에 종속된 경험이 어떠한 증상으로 각인되는지 보여준다. 사이코드라마 속 잉여현실에서 그는 부조리한 권력질서에 대한 시야를 확보하고 폭력의 악순환을 끊는 데 일조하겠다는 새로운 신념을 정립한다. 김기창이 병증에서 놓여난 후에도 공동체에 수용되지 못하는 결말은 정신질환 자체라기보다 ‘비/정상’을 이분하는 사회에 근원적인 문제가 자리함을 지목한다. 요컨대 〈신화 1900〉은 다음의 세 가지 국면에서 현재적 의미를 지닌다. 첫째, 트라우마 회복의 단서가 타인과 연결되어 공동체와의 유대를 재건하는 데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질병 극복의 서사로 수렴하지 않음으로써 정상성의 허위를 폭로하고 그것에 균열을 가한다. 셋째, 고통스러운 기억을 나누어 가지고 연대와 공동체의 외연을 넓히는 존재론적 전회를 요청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흑구 소설에 나타난 1930년대 조선인 미국 유학생과 모빌리티 = Korean American students and mobility in the 1930s in Han Heuk-Gu's novel 박수정 p. 5-29

전쟁과 (비)인간 동물의 감수력 = War and the patiency of the (non)human animal : focused on Kim Do-Young' plays A Hawk and Gold Birds : 김도영의 희곡 『왕서개 이야기』, 『금조 이야기』를 중심으로 양근애 p. 31-57

에 나타난 정신병리적 상상력"> ‘광인’을 만들고 고치기 = Making and curing "madmen" : the psychopathological imagination in Myth 1900 : 윤대성 <신화 1900>에 나타난 정신병리적 상상력 최우정 p. 59-89

1950년대 임긍재 문학론 연구 = A study on Lim, Geung-jae's literary theory in the 1950s :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al activities and literary theory : 정치활동과 문학론의 관련성 김택호 p. 91-118

70년대 멜로드라마의 응전과 실패 = THe rise and fall of the melodrama of the 70s : Kim Seung-ok <The Maiden Who Went to the City> adaptation research : 김승옥 <도시로 간 처녀> 각색 연구 장혜련 p. 119-152

각색된 영화가 원작으로부터 진화(進化)하는 방식 = The way the adapted film evolves from the original : focused on the movie Drive My Car : 영화 <드라이브 마이 카>를 중심으로 이채원 p. 153-177

한국어문화교육에서 문화콘텐츠 판소리의 가치와 교육적 의의 연구 = A study on the value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of cultural content Pansori in Korean language culture education : focused on the example of 'Seodo Band' and 'Inalchi' : <서도밴드>와 <이날치>의 예를 중심으로 이가원 p. 179-206

한국현대시의 해방 전후 고향의식 비교 = Comparison of hometown consciousness before and after Korea's liberation in the modern Korean poetry : focusing on 'critical reading' teaching methods : ‘비평적 읽기’ 교육방법을 중심으로 이승복 p. 207-228

인터넷 밈의 이해를 통한 모바일 네이티브 특성 분석 = Understanding how Internet memes are used to characterize mobile natives : focusing on the context of production, consumption, and reproduction of Internet memes : 인터넷 밈의 생산·소비·재생산의 맥락을 중심으로 주민재 p. 229-2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