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남해 섬 지역에서 밤나무를 재배하고 있는 재배 농가를 대상으로 밤 종실해충인 복숭아명나방 성충의 우화 시기를 파악하고 피해율을 조사하여 방제 적기를 구명하여 약제 방제를 하므로서 피해를 최소화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다. 조사지역에 따른 우화 시기별 개체 수는 남해 섬 지역의 경우 설천면 비란 지역의 우화 시기는 7월 13일에 우화를 시작하여 9월 14일에 종료되었다. 남해 남면 평산지역의 우화 시기는 7월 10일에 우화를 시작하여 9월 14일에 종료되었다. 남해 서면 대정지역의 우화 시기는 7월 13일에 우화를 시작하여 9월 11일에 종료되었다. 남해 이동면 다정지역의 우화 시기는 7월 16일에 우화를 시작하여 9월 11일에 종료되었다. 남해 창선면 서대 지역의 우화 시기는 7월 16일에 우화를 시작하여 9월 14일에 종료되었다. 섬 지역과 대조지역으로 내륙에서 밤 재배지역이 가장 많고 재배자의 관심도가 높은 합천군 가회면 외사 지역의 경우에 우화 시기는 7월 31일에 우화를 시작하여 9월 17일에 종료되었다. 남해 섬 지역에서 재배하고 있는 밤나무 임지에서 결실되어 수확하는 시기별로 피해율을 조사한 결과 수확시기가 9월 7〜8로 초순인 밤은 조생종으로 단택, 삼조생의 경우 조사지역 모두에서 피해율이 높게 조사되었고 특히 대조구로서 내륙지역인 가회면 외사리에서 40.71%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남면 평산 지역과 창선면 서대 지역의 피해율이 38.40과 38.02로 조사되었고, 설천면 비란 지역이 34.32%이었고, 이동면 다정 지역이 27.12%로서 피해율이 가장 낮았다. 수확시기가 9월 23〜24일로 하순인 밤은 중생종으로 유마, 축파는 섬 지역의 설천면 비란 지역과 남면 평산 지역이 각각 35.42%와 35.12%이었고, 대조구로서 합천군 가회면 외사 지역이 유사한 35.04%이었다. 다음으로 서면 대정 지역과 창선면 서대 지역이 각각 34.83%와 34.21%이었고, 가장 피해율이 낮은 지역은 이동면 다정 지역으로 36.73%이었다. 마지막으로 수확시기가 10월 3〜4일경 초순으로 만생종인 박미, 은기는 대조구로 합천군 가회면 외사 지역이 32.97%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서면 대정 지역과 창선면 서대 지역이 각각 31.03%, 30.28%이었고, 남면 평산 지역이 29.74%이며, 가장 낮은 피해율은 이동면 다정 지역으로서 26.81%이었다. 따라서 수확 시기별의 밤에 발생하는 복숭아명나방의 피해율은 조생종>중생종>만생종의 순으로 피해율이 많이 조사되었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adult eclosion period of the peach pyralid moth, a chestnut pest, in some chestnut orchards in Namhae Island and investigated the damage rates of chestnut fruits to find the optimum timing for insecticide pest control to minimize damages. To this end, we installed sex pheromone traps and scrutinized the period and amount of adult eclosion of peach pyralid moths over 4 months from June to September. The number of the species attracted was analyzed by area and eclosion period. For Namhae Island, the eclosion period in Biran-ri, Seolcheon-myeon, started on July 13 and ended on September 14. The eclosion period in Pyeongsan-ri, Nam-myeon, started on July 10 and ended on September 14. The eclosion period in Daejeong-ri, Seo-myeon, started on July 13 and ended on September 11. Similarly, the eclosion period in Dajeong-ri, Idong-myeon, started on July 16 and ended on September 11. The number of catches in the peak period was 5. Eclosion period in Seodae-ri, Changseon-myeon, started on July 16 and ended on September 14. For Oesa-ri, Gahoe-myeon, Hapcheon-gun, the control area inland with the most significant number of chestnut orchards and the most attention from chestnut cultivators, the Eclosion period started on July 31 and ended on September 17. We also thoroughly inspected damage rates by chestnut harvest season in the chestnut orchards on Namhae Island. It was found that cultivars harvested in early September (between 7th and 8th) were early-growing chestnuts. Cultivars Tanzawa and Castanea crenata showed high damage rates in all study areas, with the highest damage rate of 40.71% in the inland control area Oesa-ri, Gahoe-myeon, 38.40 % in Pyeongsan-ri, Nam-myeon, 38.02% in Seodae-ri, Changseon-myeon, 34.32% in Biran-ri, Seolcheon-myeon and the lowest 27.12% in Dajeong-ri, Idong-myeon. Cultivars harvested in late September (23th-24th) were middle-growing chestnuts. Cultivars Arima and Tsukuba revealed damage rates of 35.42% and 35.12% in Biran-ri, Seolcheon-myeon and Pyeongsan-ri, Nam-myeon, respectively. The inland control area Oesa-ri, Gasan-myeon, Hapcheon-gun, showed a similar damage rate of 35.04%. Damage rates in Daejeong-ri, Seo-myeon and Seodae-ri, Changseon-myeon were 34.83% and 34.21%, respectively. The damage rate in Dajeong-ri, Idong-myeon, was the lowest at 36.73%. Lastly, late-growing chestnuts Parkmi and Gynyose with harvest season of early December (3th-4th) showed the highest damage rate of 32.9% in the control inland area Oesa-ri, Gahoe-myeon, Hapcheon-gun, followed by 31.03 % in Daejeong-ri, Seo-myeon, 30.28% in Seodae-ri, Changseon-myeon, 29.74% in Pyeongsan-ri, Nam-myeon and the lowest 26.81% in Dajeong-ri, Idong-myeon.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1960년대 전후 전북 군산지역의 수산업 사정과 수산교육 = The local fisheries and fishery education conditions in Gunsan, Jeollabuk-do, around the 1960s 김민영 p. 1-16

여수시 무인도서 지형·지질의 교육적 활용방안 = Educational application plan of the geomorphology·geology in the uninhabited islands of Yeosu City : focusing on Nam-myeon, Smasan-myeon : 여수시 남면, 삼산면을 중심으로 오강호, 김해경 p. 17-33
남해-여수 해저터널 효과 극대화를 통한 남해 발전전략 고찰 = The examination of Namhae development strategy by maximizing the effect of Namhae-Yeosu undersea tunnel 이웅규, 김용완 p. 35-57
섬 관광 활성화를 위한 정책 추진 단계 고찰 = A study on the policy implementation steps for the activation of island tourism 이웅규 p. 59-78
크루즈 여행의 부정적 언론보도로 인한 위험지각 및 태도와 행동의도의 관계 = A research of perceived risks,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on negative media report of cruise tour 김지연, 정병웅 p. 79-94

경상남도 남해군 밤나무 종실해충의 우화시기와 피해율 = A comparative study on occurrence pattern and damage rate of Dichocrocis punctiferalis(Lepidoptera: Pyralidae) of chestnut tree in Namhae-gun, Gyeongsangnam-do 조양희, 이총규, 하만릉, 김현 p. 95-110
소규모 해수담수화시설 물 생산량 제고 방안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water production in small-scale desalination plants : 전라남도 해수담수화시설을 중심으로 정용문, 오은하, 박현수, 김민영, 송승리, 김학림, 차윤경, 한용원, 황윤화, 김익산, 박귀님 p. 11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