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코토르는 몬테네그로의 해안관광도시이자 아드리아 해 지역에서 역사적으로 잘 보존된 중세도시이다. 코토르는 로마시대에 최초 개척되었고, 중세와 베네치아지배를 포함한 오랜 세월을 거쳐 도시와 성벽을 형성하였다. 코토르 자연⋅역사문화지구는 1979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본 연구는 유럽, 옛 유고연방의 세계유산에 대한 관심에서시작되었고, 코로르 자연⋅역사문화지구의 이해를 위해 몬테네그로의 지리와 역사적 배경, 세계유산 분포, 도시경관 특징과 가치를 고찰하였다. 코토르는 트뤼폰성당을 중심으로 하는 구시가지와 성벽, 페라스트의 자연섬과 인공섬 등 탁월한 경관을 보유하였고, 세계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 인간의 창의성을 구현한 걸작, 역사적 사실과 교류증거, 전통적인 문화와 문명의 증거, 시대를 대표하는 건축과 경관의 대표성의 가치를 갖고 있다.

Kotor is a coastal tourist city of Montenegro that is a well-preserved medieval port in the Adriatic Sea region. It was first settled in ancient Roman times and formed the city and its fortress through centuries of history, including the medieval and Venetian rule. The Natural and Culturo-Historical Region of Kotor was designated as a UNESCO World Heritage Site in 1979. The study began with an interest in World Heritage Sites in former Yugoslavia, especially in Montenegro, and examined Montenegro’s geography and historical change, the distribution of world heritage sites, and urban 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values of Kotor in order to understand the Natural and Culturo-Historical Region of Kotor. Kotor has an excellent urban landscape that includes the architecture of the old town and its wall, and a natural and an artificial island of Perast. As a World Heritage Site, it has outstanding universal values, including masterpiece of human creativity, evidence of historical facts and cultural exchanges, evidence of traditional culture and civilization, and the representation of architecture and landscape illustrating significant stage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영국 지리 교과서는 아프리카를 어떻게 다루는가? = How do British geography textbooks introduce Africa? A case study of the Geog. series : Geog. 시리즈를 사례로 김민성 p. 1-16

체코 체스키크롬로프 역사지구의 도시경관특성과 보존방향성 = Urban 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conservation directions of the historic district of Cesky Krumlov, Czech Republic 김일림 p. 17-33

채원정의 풍수 오성론과 구성론의 인식 연구 = A study on Cai Tuanding's recognition of fengshui through five-star theory and nine-star theory 박정해 p. 34-50

체제전환기 몽골의 지리경관 특성 = Geographical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Mongolia in transition period 이간용 p. 51-68

다중시기 항공 정사영상을 활용한 합천댐 하류부의 황강 하도 내 퇴적환경 변화 연구 = A study on the sedimentary environment changes in the Hwang River channel of Hapcheon Dam downstream using multi-temporal aerial orthoimagery 장동호, 정근비 p. 69-86

지역주민을 위한 도시 역사문화자원 활용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use of urban cultural heritage for residents : the case of Samsunghyeol in Jeju : 제주 삼성혈 사례 이민주 p. 87-100

(A) study on the urban landscape and values of Kotor, a World Heritage Site in Montenegro = 몬테네그로 코토르 세계유산의 도시경관과 가치에 대한 연구 Lee, HyukJin, Choi, HwaYeol p. 101-114

Biculturalism and eco-friendly policy of New Zealand = 뉴질랜드의 이중문화주의와 친환경 정책 Shin, In Young p. 115-126

텍스트 마이닝 방법을 이용한 학술지 특성 분석 =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academic journal using text mining methods : ‘경관과 지리’를 대상으로 배선학 p. 127-138

강원특별자치도 종합보세구역 물류 효율화를 위한 수출기업 집적단지 조성 방안 = A plan to create an export enterprise complex for logistics efficiency in Gangwon State general bonded area 김형철 p. 139-151

인간활동에 의한 하천 변화 = Human modification of the river with a focus on the buried urban streams in the northwestern region of Seoul : 서울시 서북권 복개하천을 중심으로 임영신 p. 152-175

지리정보기술의 활발한 교육적 활용을 위한 예비 지리교사의 긍정적 태도 함양 방안 연구 = A research on fostering preservice teachers’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active use of geospatial technologies in geography education 이진희 p. 176-192

거제시 산업위기 대응 전략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alternative strategies to the industrial crisis of Geoje City 하경희 p. 193-214

제주도 자생 왕벚나무의 전파 경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transmission route of Prunus yedoensis on Jeju Island : focusing on Emil Take’s missionary role : 에밀 타케의 선교 역할을 중심으로 윤병국 p. 215-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