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 탈북민의 의사소통 역량을 증진함으로써 남한사회 적응을 도모하는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김창대 등(2022)이 제안한 프로그램 개발 절차에 따라 동기강화상담과 사회기술훈련 이론을 적용하여 의사소통 인식, 의사소통 태도, 의사소통 지식, 의사소통 기술의 4가지 모듈형으로 개발하였다. 인식 모듈의 목적은 자신과 타인을 이해함으로써 관계에 대한 비판적 사고를 기르는 것이고, 태도 모듈의 목적은 남한 사람과의 의사소통에 도움이 되는 개방적 태도와 의사소통 동기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지식 모듈의 목적은 남한사회의 언어, 생활방식, 의사소통 차이 등을 이해하는 것이고, 기술 모듈의 목적은 남한 생활에서 의미 있는 관계를 맺기 위한 의사소통 방법을 습득하는 것이다. 개발한 프로그램을 지역사회에 거주 중인 여성 탈북민 10명에게 이틀에 걸쳐 회기 당 50분, 16회기의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프로그램 참여 이전보다 의사소통 지식, 기술, 인식이 증가하였고, 대인관계 능력 척도의 하위요인 중 상호작용관리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참여자의 소감에서 자신감 상승, 변화의 필요성 인지, 의사소통 문화 차이 이해, 타인 공감, 새로운 내용의 습득, 의사소통 습관 파악에서 긍정적인 도움을 받은 것으로 보고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여성 탈북민 집단상담 실제에 대한 시사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가족 건강성이 기혼 여성의 결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배우자 지지로 조절된 성인 애착의 매개효과 = The effect of family health on marriage satisfaction of married women : mediating effects of adult attachment regulated by spouse support 여소희, 이창현 p. 1-19

여성 탈북민 의사소통 역량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group 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of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 focusing on motivational interviewing and social skills training : 동기강화상담과 사회기술훈련을 중심으로 신성만, 원재순, 오성은, 백진주, 이다인, 김윤희 p. 21-44

20대 여성의 사회비교경향성과 이상섭식행동의 관계에서 SNS 셀피행동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ie behaviors in S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 among female adults in their 20s 서지혜, 장혜인 p. 45-70

기혼 공무원의 재택근무 만족도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married public servants' satisfaction with working from hom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and presence of children : 성별 및 자녀유무의 조절효과 신재열 p. 71-91

학업모의 양육불안과 안녕감의 관계에서 배우자 양육협력의 매개효과와 학습몰입의 조절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allianc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in the relation between parenting anxiety and well-being of student mothers 조기란, 이정미 p. 93-111

익명성과 공격성의 관계 = Relations between anonymity and aggression : narcissistic types and gender : 자기애 유형과 성차를 중심으로 조효심, 조수현 p. 113-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