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일상생활능력을 유형화한 이후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고 취업과의 연관성을 검증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장애인고용패널 2차 웨이브인 6차(2021년)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통한 발달장애인의 일상생활능력을 유형화하고, 3단계 접근법(three-step approach)을 활용하여 유형별 특성을 탐색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유형별 취업과의 연관성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일상생활능력을 유형화한 결과 3가지 유형인 ‘저능력형 집단’, ‘상대적 중간능력형 집단’, ‘고능력형 집단’으로 도출되었다. 유형별 특성을 살펴보면 ‘저능력형 집단’을 준거집단으로 ‘상대적 중간능력형 집단’과 비교한 결과, 국민기초생활 수급자가 아닌 것에 비해 수급자인 경우,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 ‘저능력형 집단’에 포함될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고능력형 집단’과 비교한 결과, 배우자가 있는 것에 비해 없는 경우, 국민기초생활 수급자가 아닌 것에 비해 수급자인 경우, 건강상태가 좋지 않을수록, 직업교육훈련을 받는 것에 비해 받지 않을수록 ‘저능력형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일상생활능력 유형별 취업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고능력형 집단’인 경우 취업할 확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집단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장애인의 일상생활능력 향상을 위한 실천 및 정책적 함의에 대해 제언하고 후속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수단적 일상생활 능력의 잠재유형 분석을 통한 중고령 발달장애인의 특성 및 지원 요구 탐색 =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and support needs of middle-aged and olde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pplied to analysis of latent types of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민자영, 황지현, 주영하, 김기룡 p. 5-32

발달장애인의 자립에 관한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인식 연구 = Perception study of disability support workers on the independence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a focus on Q methodology : Q 방법론을 중심으로 김아란, 이여진, 김한솔 p. 33-58

장애인연금제도가 필수재 및 장애추가비용 지출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the disability pension on essential expenses and disability costs : utiliz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and difference-in-differences analysis (DID) : 성향점수매칭과 이중차이분석 활용 임정민 p. 59-90

발달장애인의 일상생활능력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 Classifying latent profiles in daily living skills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exploring influencing factors and verifying differences in employment : 영향요인 탐색 및 취업 차이 검증 김한솔, 김나영 p. 91-117

2022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성취 기준 연구 = A study on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22 revise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 towards inclusive climate-responsive approach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 장애 포괄적 기후 대응 중심으로 채민 p. 119-145

장애인이 인식한 비장애인의 장애 이해도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수요자 중심 서비스 이용 경험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consumer-centered service exper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on-disabled people's understanding of disability and quality of life perceived by people with disabilities 이소영, 강선경, 서상형 p. 147-172

장애인 테마형 매입임대주택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theme-type purchased rental housing for the disabled : focusing on the case of F social welfare corporation : F 사회복지법인의 사례를 중심으로 남지현, 이정하, 김지혜 p. 173-202

정신장애인 동료지원쉼터에 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f peer respite for people with psychosocial disabilities : focusing on experiences of service users and providers : 이용자의 위기경험과 종사자의 지원경험을 중심으로 배진영 p. 203-246

정신장애인이 지각한 실천가와의 관계가 회복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perceived working relations on recovery for people with mental illness : focusing on the double mediation effect of self-determination and stigma coping : 자기결정과 낙인대처의 이중매개효과 하명은, 정숙희 p. 247-277

장애인과 첨단기술 =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advanced technology : transition to AI? : AI로의 이행? 남성희, 박재현 p. 279-300

장애인일자리사업 이해관계자 관점에서의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status and the improvement of the job creation projec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 focusing on the Gyeonggi Province cases : 경기도 사례를 중심으로 황신영, 석희정 p. 301-336

발달장애인의 성에 대한 장애인복지종사자들의 인식유형과 성교육의 방향 = The perception types of social workers on the sexuality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백연연, 신원식 p. 337-3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