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는 일반계고 학생의 진로정보 수집 및 활용 실태에 대한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구하여, 인생에 가장 큰 결정을 앞두고 있는 이들의 진로의사결정을 조력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라 일반계고 재학생 중 진로정보 수집 및 활용 실태에 대한 생생한 목소리를 전달할 수 있는 7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고, 2회에 걸쳐 FGI를 수행하였다. FGI를 통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정보 탐색과 관련하여 일반계고 학생들은 온오프라인의 다양한 정보원에서 진로정보를 수집하였으며, 중요한 타인(부모님, 친구, 교·강사, 현직자)와 진로정보 관련 상호작용을 할 때 각각의 양상 및 기능이 달랐다. 둘째, 진로정보 활용과 관련하여 진로의사결정 수준에 따라 진로정보 활용의 수준이 상이하다. 희망 직업이나 학과가 뚜렷하면 다양한 인적 정보원에게서 수집한 정보를 자신의 진로를 구체화하는 데 활용하였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대학 입시 정보에 집중하여 피상적인 수준에 머물렀다. 셋째, 진로정보 평가와 관련하여 진로정보 탐색 및 활용과 관련된 어려움은 성찰적 사고를 통해 진로 관련 행동을 촉진하는 긍정적인 정서를 형성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일반계고 진로교육의 질적 제고를 위한 실천적, 학술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다중병렬매개효과 = Multiple parallel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adaptability in university students 김수란 p. 1-20

민간위탁고용서비스 직업상담사의 경력개발 영향 요인 = Factors influencing career development of private consignment employment service career counselors 허지숙, 최은미, 김지효 p. 21-38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활용한 중장년 근로자의 일자리 특성 분석 = A study on job characteristics for middle-aged workers using decision tree analysis : focusing on gender and age : 성별과 연령을 중심으로 지혜순, 이영민 p. 39-58

관광관련학과 대학생의 코로나블루, 그릿과 자기효능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blues, grit,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university students in tourism-related departments 한수연 p. 59-76

일반계고 학생의 진로정보 수집 및 활용 실태 = A qualitative inquiry on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experience related to career information collecting and usage 변주영, 조은혜 p. 77-97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조직핵심인재 역량에 대한 직장인들의 인식 = Text mining utilization on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core talent competencies among employees : a preliminary survey for core competency education and development : 핵심 역량 교육 및 개발을 위한 기초 조사 한채연, 이용준 p. 99-117

디지털 리터러시역량이 기술창업 기회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mpact of digital literacy competence on entrepreneurial opportunity competence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 기업가적 지향성의 조절효과 중심 김춘호 p. 119-136

정규 창업 강좌와 비정규 창업 강좌 수강생 간 기업가적 역량, 기업가적 태도 및 창업의도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entrepreneurial capabilities, entrepreneurial attitude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between student taking regular and non-regular entrepreneurship courses 김용태 p. 137-152

체험형 사회적 창업교육 참여자의 사회적 창업의도 예측요인 = Psychological predictors of social entrepreneurial intention among participants in experiential social entrepreneurship education : learning goal orientation, meaning at work, bottom-line mentality climate perception : 학습목표지향성, 일 의미감, 성과 중시 풍토의 심리적 효과 이나연, 박서영, 김가원 p. 153-174

창업의도를 넘어 사업화로 가는길 = Bridging the gap from entrepreneurial intention to business implementation : the mediating effect of marketing competencies : 마케팅 역량의 완전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하호정, 구인혁 p. 175-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