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영상을 이용한 머리척추각 자동 측정 프로그램 개발 = Development of an automatic measuring program for the craniovertebral angle using photographic image
|
예수영, 김종순
|
p. 1-11
|
|
|
|
스쿼트를 병행한 옆으로 걷기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side walking training combined squat on balance and gait ability in patients with stroke
|
강태우, 김다희
|
p. 13-21
|
|
|
|
(The) immediate effects of elastic taping on center of pressure and foot pressure distribution
|
Jung-Hee Kim, Jong-Ho Kook, Sang-Mi Lee, Eun-Bin Ko, Song-Yi Han, Yeon-Jeong Kim, Byeong-Jun Min
|
p. 23-30
|
|
|
|
계단 오름 보행 시 전족, 후족 착지 방법에 따른 하지의 근활성도와 발목 각도 비교 = Comparison of ankle angle and lower extremity muscle activities between forefoot strike, heelfoot strike during the stair ascent walking
|
김준수, 김현준, 이상열
|
p. 31-41
|
|
|
|
Vest-type system on machine learning-based algorithm to detect and predict falls
|
Ho-Chul Kim, Ho-Seong Hwang, Kwon-Hee Lee, Min-Hee Kim
|
p. 43-54
|
|
|
|
넙다리뒤근 단축이 있는 성인에게 이완 기법의 적용이 하지의 유연성과 균형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relaxation techniques on flexibility and balance of the lower limb in adults with hamstring shortening
|
이정우, 전성민, 김하영, 배종연, 손송찬, 송은진, 심상은, 이형욱, 이혜경, 조백광, 조성빈, 주진희, 진하연, 황정현, 김민희
|
p. 55-70
|
|
|
|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 스트레칭 기법과 탄성 스트레칭 기법이 엉덩관절 유연성 및 근 긴장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stretching and ballistic stretching on hip joint flexibility and muscle tone
|
강태우, 박서윤
|
p. 71-80
|
|
|
|
규칙적 신체활동에 참여하는 발달장애인 가족의 삶의 질 검증 = Investigation of quality of life for familie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articipating in regular physical activity
|
최승준
|
p. 81-90
|
|
|
|
정상인의 후방 보행 시 시각 자극이 보행 변수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visual stimulation on gait parameters during backward walking in healthy individuals
|
성한별, 서지원, 조정현, 우영근
|
p. 91-99
|
|
|
|
신체활동과 비특이적 목 통증의 재발 = Physical activity and non-specific neck pain recurrence : a nationwide cohort risk factor study based on National Health Insurance data : 국민건강보험 자료에 기반한 전국 코호트 위험인자 연구
|
구미란
|
p. 101-111
|
|
|
|
만성 뇌졸중 환자의 종아리 근육에 적용한 편심성 훈련이 근긴장도와 근력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eccentric training applied to calf muscles on muscle tone, muscle strength and gait of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
배지현, 우영근, 김용욱, 박규남
|
p. 113-128
|
|
|
|
경도 지적장애 자동차제조업 근로자의 근골격계 위험 요인 조사 = Risk factors of musculoskeletal system in automobile manufacturing workers with mlid intellectual disabilities : focus on neck and lower back regions : 목과 허리 부위 중점으로
|
황영인, 박두진
|
p. 129-137
|
|
|
|
경사도 각도에 따른 트레드밀 보행훈련 시 뇌졸중 환자의 뇌파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change in degrees of inclination during treadmill gait training on EEG of stroke patients
|
김선민, 김동훈, 장상훈
|
p. 139-149
|
|
|
|
상지의 대각선 운동형태와 수축형태에 따른 근활성도 비교연구 = Comparison among shoulder diagonal pattern of exercises considering phase of contraction based on muscle activity
|
김수한, 박세연
|
p. 151-158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