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기술이 교육생태계에 가져오고 있는 변화에 직면해 새로운 균형점으로 나아가도록 하는 방안을 체계적으로 탐색하는 것에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주제범위 문헌분석을 실시하였고, 브론펜브레너(Bronfenbrenner)의 생태학적 체계이론(Ecological System Theory)을 바탕으로 재구성한 분석틀에 터해 디지털 기술이 교육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종합⋅정리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시체계의 순기능에는 맞춤형 교육과 디지털 기술 보조 교육의 강화가 있었고, 역기능으로는 스트레스 및 신체적 부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중간체계에서는 학부모와의 소통 촉진을 통한 학습 지원이 순기능, 가정 내 콘텐츠 관리의 어려움이 역기능인 것으로 밝혀졌다. 외체계에서는 교육목표 설정 지원이 순기능인 반면, 자원 확보의 차이가 학습성과로 이어질 가능성은 역기능으로 발견되었다. 또한, 거시체계의 순기능으로는 국가 경쟁력 강화가 있는 반면, 역기능으로 잘못된 정보의 확산으로 인한 사회적 악영향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끝으로, 시간체계에서는 발달단계에 부합하는 디지털 기술 활용이 달성 가능성에 따라 순기능과 역기능으로 부각되었다. 추가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이상의 각 체계에서 드러난 역기능의 해소를 도모할 수 있는 방안을 각각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디지털 기술의 발달 및 확산으로 추동된 변화의 흐름 속에서 교육생태계가 새로운 균형점에 안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참고할 수 있는 시론적 논의를 전개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교사 정체성 유형에 따른 교사의 교원정책 인식 연구 = Teachers' perceptions of teacher policy according to teacher identity types 김정아 p. 1-25
대학의 비정규직 행정직원 채용 확대 현상을 둘러싼 이슈와 쟁점 = Issues and controversies surrounding the expansion of non-regular administrative staff employment in universities : focusing on the divergence of perspectives between employers and job seekers : 채용자와 구직자의 관점 차이를 중심으로 박유민 p. 27-65
타지역 학생들은 왜 지방 사립 C대학을 선택했나 = Why did students from other regions choose C university 고은애, 송경오 p. 67-96
교육행정학의 가추기반 이론발달 모델 탐구 = Exploring abductive models of theory development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 issues and implementation methods : 관련 쟁점과 실천 방안 박선형 p. 97-127
과정중심 피드백 실행을 위한 교사 요구분석 = Analysis of teacher needs for process-oriented feedback execution 류민영, 김은수, 정성수 p. 129-163
학문적 정체성 관점에서 본 학교장 리더십 국내 연구동향 분석 = An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trend of principal's leadership in the disciplinary identity 황재운 p. 165-192

국가 교육 사업의 협력적 거버넌스 실천 사례 분석 = The case analysis of collaborative governance of a national education project : focusing on the AIEDAP project for enhancing teachers' AI and digital competencies : 교원의 AI·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AIEDAP(아이에답) 사업을 중심으로 임철일, 박철규, 황윤정 p. 193-220
교육정책 연구에서의 무작위 대조군 실험(Randomized Controlled Trial, RCT) 연구 동향과 시사점 = Trends and implication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RCTs) in education policy research : a focus on the Journal of EEPA in the United States : 미국 EEPA를 중심으로 최예슬, 박소정 p. 221-251
다차원 교육정책분석 모형을 활용한 디지털 기반 미래교육 분야 교원 연수 정책 분석 = Analysis of teacher training policies in the field of digital-based future education using a four-dimensional of policy theory 장수정, 이선희, 정제영 p. 253-282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2015 및 2022 개정 교육과정별 정책 변동에 따른 쟁점의 비교 = Comparison of issues in the 2015 and 2022 revised curriculum using text mining 김인재, 구태진, 정제영 p. 283-315

초등교사의 좋은 일터로서의 학교 인식 수준과 교사소진, 학생지도효능감, 직무만족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level of perception of school as agood workplace, teacher burnout, student teaching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김민규, 허주 p. 317-342
경기도 교육과정 클러스터 정책이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The effects of the Gyeonggi Province's education curriculum cluster policy on the career maturity of high school students 문지영, 이보미, 정광호 p. 343-367
한국 교육행정학 분야 질적 연구의 질 평가 = Evaluating the quality of qualitative research in Kore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신현석, 주영효, 정수현, 윤혜원 p. 369-400
A교육지원청 조직문화 혁신과정의 특징 =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al culture innovation process by a local office of education 이수경, 박수진, 나민주 p. 401-423
국제비교교육 관점에서 본 의사가 되기를 희망하는 한국 청소년의 특성 = Characteristics of Korean adolescents aspiring to become doctors :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education perspective 안해연, 김건희, 임서영, 변수용 p. 425-447
초임 장학사의 정체성 형성 과정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process of forming the identity of a beginning supervisor : 교육지원청 소속 장학사를 중심으로 남혜정, 김병찬 p. 449-476
교사의 전입과 교사효능감의 구조적 관계 탐색 = Explor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transfer and teacher efficacy : dual mediation effect of participative decision-making and teacher collaboration : 의사결정 참여와 교사협력의 이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승현, 최연우, 엄문영 p. 477-501
지역발전을 위한 대학의 역할과 과제 탐색 = Exploring the role and tasks of universities for regional development in the regional innovation system & education :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를 중심으로 차성현 p. 503-526
학교급 전환기 소외계층 학생의 학업탄력성 변동 요인 분석 = Analysis of the factors in academic resilience of underprivileged students in the transition period of school level 정광호 p. 527-559
학교교육 지원 조직의 정체성에 대한 연구 = Research on the identity of school education support organizations : the case study of the School Education Support Center of Sejong City's Office of Education :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의 학교교육지원센터 사례를 중심으로 박대권, 구유정 p. 561-586
대도시 내 소규모학교의 운영 현황 및 실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f small schools in large cities : A교육청 사례를 중심으로 박수정, 이호준, 박정우, 박근아 p. 587-618
교육행정학 질적연구에서 일반화의 의미와 수행 전략 = Generalization in qualitative research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 meaning, possibility, and implementation strategies : 전이가능성 개념과 맥락의 역할을 중심으로 변기용, 김현주, 김수혁 p. 619-649
경향점수를 활용한 고등학교 방과후학교 참여 효과 = The effects of afterschool program participation in high school using propensity score weighting : focused on college preparatory behaviors and regional differences : 대학진학 준비행동과 지역별 차이를 중심으로 공희정, 이인서 p. 651-682
디지털 기술의 교육적 활용을 위한 비판적 고찰 = A critical study of the educational use of digital technologies 황재운, 정제영, 박지애, 정영식, 박주형, 김인재 p. 683-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