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플립러닝을 활용한 수업의 효과성, 교수설계 등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지만 수업에 참여하는 학습자의 관점에서 학습몰입 요인을 탐색한 경우는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플립러닝에서 학습몰입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탐색하고자 한다. 몰입은 학습자가 경험하고 느끼는 동기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어 상황학습기반 대학 플립러닝 환경에서 학습몰입 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근거이론의 방법으로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대학생들의 플립러닝에 관한 이야기는 선택 코딩을 통해 핵심범주와 유형으로 ‘개인의 흥미, 목표와 일치하는 학습맥락’, ‘학습과정 전체에 영향을 주는 학습내용’, ‘온라인으로 소통하고, 강의실에서 함께하는 학습환경’, ‘학습자의 개인자원에 따른 학습전략’ 등이 도출되었다. 핵심범주의 가설정형화 과정을 거쳐 기본심리욕구가 학습몰입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출된 이론을 토대로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수자가 학습환경을 계획할 때 학습자의 기본심리욕구를 고려하여 학습몰입에 영향을 주는 실제 학습환경을 위한 교수설계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 발달 양상 = Smartphone dependency development in adolescents : contemporaneous and lagged effects of risk factors, and moderating effects of protective factors : 위험요인의 동시 및 지연효과와 보호요인의 조절효과 최여란, 신종호 p. 1-28
대학 플립러닝 환경에서 학습몰입 요인의 질적 탐색 = Qualitative exploration of learning engagement factors in university flipped learning environment 박경은, 송해덕 p. 29-57

Creswell(1998)의 질적연구 유형 분류방식의 유용성과 한계 = Critical reflection on the usefulness and limitations of Creswell's (1998) taxonomy of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es : an educational biography approach : 교육전기 접근방법을 통한 비판적 성찰 기록 변기용 p. 59-94
학생들이 인식하는 학교폭력의 정의와 원인 = Definition and causes of school violence as perceived by students : focusing on conceptual ambiguity and inter-student dynamics : 개념적 모호함과 학생 간 역학관계를 중심으로 김유원, 안영은 p. 95-126
영유아 학부모 “교육열” 형성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formation of "education fever" among parents of infants and toddlers : “인스타그램” 중심 “책육아” 현상에 대한 행위자-네트워크 분석 강진아 p. 127-164
중・고등학교 시기 사교육 및 자기주도학습 시간의 종단적인 변화에 따른 집단 분류 및 대학교 시기의 핵심역량에 대한 영향 분석 = Impact of private and self-regulated learning time during middle/high school years on university core competencies : a latent class classification approach 이슬기, 김래영, 유연주 p. 165-194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 문제행동의 메타분석 = Meta-analysis of parenting attitudes of parents and problem behavior of young children : application of met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메타구조방정식 모형의 적용 정선영, 조한익 p. 195-228
수업 체계성과 일관성이 대학생의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Examining the influence of instructional organization and coherence on college students' achievement 이수지, 윤민종 p. 229-256
국제 바칼로레아 초등 프로그램(IB PYP)의 종단적 효과 = Longitudinal effects of international baccalaureate primary years programme (IB PYP) on academic achievement and motivation of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와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이민혜 p. 257-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