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연구목적: 이 연구는 문항반응이론을 적용하여 아동청소년 통합스트레스 검사(IESS-A)의 문항 중 상대적으로 문항 양호도가 우수한 소수 문항들을 추출하여 IESS-A의 단축형을 구성하고, 그 신뢰도와 타당도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IESS-A의 표준화표본 자료를 이용하여 문항반응모형 중 등급반응모형(graded response model)을 적용하여 1부 스트레스 반응(신체화, 우울, 불안, 분노, 공격행동), 2부 스트레스 취약성(의존성, 충동성, 회피성)과 보호요인(효능감, 낙관성, 통제력), 3부 스트레스인(자신, 진로, 부모, 또래, 교사, 학업) 척도에 속한 총 18개 하위척도 155개 문항의 문항변별도 크기, 문항범주난이도 간격의 균일성, 문항정보함수, 해당 문항과 나머지 문항 전체와의 상관계수 및 해당 문항을 제거했을 때의 신뢰도 지수(alpha if item deleted)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최종적으로 91개 문항으로 IESS-A의 단축형을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이렇게 구성한 IESS-A 단축형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원척도와의 상관, 척도별 내적 합치도,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검토한 결과, 원척도와의 상관은 하위척도별로 .90~.99(중앙치 .97), 척도별 내적 합치도는 .68~.92(중앙치 .86),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37~.87(중앙치 .72)의 범위이었고, IESS-A 단축형의 스트레스 요인, 취약성, 보호요인, 스트레스 반응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개념을 측정하는 타당성 지표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이러한 결과는 IEES-A 단축형이 아동청소년의 스트레스를 보다 짧은 시간 내에 통합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검사도구로 학교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디지털교육 교과목 개발을 위한 예비교사의 인식과 요구분석 =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and needs for digital education curriculum development 서희정, 이준 p. 1-27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기관에 자녀를 보낸 어머니의 놀이 관점 탐구 = Exploring the play perspective of mothers who sent their children to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implementation institutions 김현영, 정정훈 p. 29-54

컴퓨팅 사고력 함양을 위한 융합수업 실행에 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on instructional practices for computational thinking in convergence education 문정미, 박휴용 p. 55-79

리빙랩의 고등교육 ODA 가능성 탐색 = Exploring the potential of living labs in higher education ODA : a case study of living lab at T university in Vietnam : 베트남 T대학 리빙랩 사례를 중심으로 신하영, 이정인 p. 81-100

아동청소년 통합스트레스 검사(IESS-A)의 단축형 구성 = Short form of integrated evaluation of stress and stress vulnerability-adolescent(IESS-A) 홍상황, 한태희 p. 101-129

대입전형 모집시기에 따른 후기 청소년의 학교만족도와 행복감의 종단적 변화 탐색 = Exploring latent growth in school satisfaction and happiness among late adolescents according to the timing of university admissions 신윤범, 원효헌 p. 131-148

중・고등학생 수학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정책효과분석 = Policy effect analysis of national-level academic achievement evaluation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mathematics 류재준, 곽현석 p. 149-168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교사의 활동에 대한 경험 탐구 = Experiences inquiry of teachers' activities in implementing the play-based curriculum 문유빈, 최혜윤 p. 169-198

대학생 대학몰입 척도 개발 = Development of the university students institutional commitment scale 김수영, 강승희 p. 199-223

지역문제해결형 PBL 수업이 간호대학원생의 문제해결 능력과 학업성취 경험 인식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local problem-solving focused PBL courses on the problem-solving abilities and academic achievement perceptions of nursing graduate students 간진숙, 권명순, 김수희, 이유은 p. 225-247

대학생의 AI 기반 적응형 학습 플랫폼(ALEKS) 사용 만족도 및 학습성과에 대한 인식 연구 = A study on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satisfaction and learning outcomes using the AI-based adaptive learning platform(ALEKS) 하오선, 김수영, 고은선, 박찬규 p. 249-273

정서・행동 문제를 가진 학생을 담임 지도한 중학교 저경력 교사의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the experience of a low-experience middle school teacher teaching a student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조다운, 유순화, 정애리 p. 275-301

이분 네트워크와 다이내믹 네트워크를 활용한 온라인 학습 연구 동향의 종단 분석 = Longitudinal analysis of online learning research trends through bipartite network and dynamic network 사승연, 류지훈 p. 303-324

고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프로파일 탐색 = Identifying digital literacy profiles of high school students : associations with self-regulated learning, creativity, and academic achievement : 자기조절학습, 창의성 및 학업성취와의 관계 정수정, 최고은 p. 325-348

ChatGPT API 활용 인공지능 논・서술형 자동채점 프로그램 개발 실행연구 = Action research on the development program of ChatGPT for automated scoring of essay type items 임종한, 임종헌 p. 349-3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