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현대예술의 인공지능 활용을 통해 본 예술의 역할과 가치 = Reflections on the role and value of art through the use of AI in contemporary art 강여울 p. 9-27
팬덤 4.0시대 디지털 크리에이터로서의 소비경험과 의미 = Consumption experience and meaning as a digital creator in the era of fandom 4.0 김보름 p. 29-58
, <전원일기>, <황금신부>를 중심으로"> 1980-2000년대 한국 드라마에 내재된 한국적 다양성 맥락의 기원적 모습에 관한 시론 = An exploration of the origins of the context of Korean diversity in Korean drama in the 1980s-2000s : focusing on "Three Families with One Roof", "The Diary of a Rural Village", and "The Golden Bride" : <한지붕 세가족>, <전원일기>, <황금신부>를 중심으로 김세익 p. 59-84
반발 심리를 활용한 영화의 분노 감정 커뮤니케이션 연구 = A study on anger emotion communication in films utilizing reactance psychology : a case study of the film <12.12: The Day> : 영화 <서울의 봄>을 사례로 박진후 p. 85-102
한국 버추얼 아이돌의 가상성 연구 = A study on the virtuality of Korean virtual idol : focus on <Plave> : <플레이브>를 중심으로 박한하, 한혜원 p. 103-126
칭호를 통해 본 온라인 게임의 문화자본 = The cultural capital of MMORPG through character titles : focusing on <Lost Ark> : 로스트아크(Lost Ark)를 중심으로 변혜린, 유승호 p. 127-158
영화 <그리스도 최후의 유혹>의 투쟁 수사학과 미적 관조 = Rhetoric of struggle and aesthetic contemplation in the film, The Last Temptation of Christ 신사빈 p. 159-179
예술계(Artworld) 개념을 통한 NFT 검토 = Examining NFT through the concept of the artworld 신성광, 박치완 p. 181-200
영화 <플로리다 프로젝트>를 통해 본 무위와 향유의 실천적 함의 = Political implications of inactivity and jouissance in the film <Florida Project> : focusing on the theories of Agamben and Levinas : 아감벤과 레비나스의 논의를 중심으로 양소연 p. 201-220
뱀파이어 영화의 여성 캐릭터 이미지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emale characters in vampire movies : focusing on Erich Neumann's discussion of femininity : 에리히 노이만의 여성성 논의를 중심으로 양진호, 유동환 p. 221-242
해양 문화유산 실감콘텐츠 발전 방향 연구 = A study of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immersive contents of maritime cultural heritage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Sinan shipwreck immersive contents cases using the Sinan shipwreck : 신안선 실감콘텐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위상희, 안형기, 최희수 p. 243-266
방송사업자들의 유튜브 개설 추이 분석을 통한 방송과 유튜브 간 미디어 경쟁에 대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media competition between broadcasting and YouTube through analyzing YouTube launch trends by broadcasters 유진희, 김치호 p. 267-300
지방대학의 문화콘텐츠분야 산학협력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m[실은 on] the activation plan of industy-university cooperation in the cultural contents sector of local university : in case of Andong National University LINC : 국립안동대학교 LINC 사업 성과를 중심으로 유현진, 이웅규 p. 301-323
콘텐츠 창작과 AI 리터러시 = On content creation and AI literacy : focusing on 'paraphrasing' of contemporary LLMs : LLM의 패러프레이징을 중심으로 윤나라 p. 325-342
포스트 텔레비전 시대, OTT 드라마 <지옥> 연구 = Post-television era, study on the OTT drama <Hell> : focusing on Ito Mamoru's affect theory : 이토 마모루의 정동 이론을 중심으로 윤복실 p. 343-374
계급차이 로맨스의 유효성 및 변화 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and change of class difference romance : focusing on the drama <King the Land> : 드라마 <킹더랜드>를 중심으로 이다운 p. 375-393
‘재미’에 관한 학문으로 문화콘텐츠학의 학문적 방향성 구성 = Suggesting the academic direction of culture contents studies as a study on 'fun' 이종훈 p. 395-416
이머시브 연극(Immersive theatre) 공간의 어포던스(Affordance) 연구 = An inquiry into the 'affordance' in Immersive theatre space 전순열 p. 417-434
셰익스피어 <리어왕>의 ‘코딜리아’ 연기 접근 방법 연구 = A study on the acting approach to 'Cordelia' in <King Lear> by Shakespeare : focusing on the use of Lee Strasberg's method : 리 스트라스버그의 메소드 활용을 중심으로 지주연, 신영섭 p. 435-456
국립중앙박물관 외규장각 의궤의 상설전시 활용 가능성 연구 = Study on the possibility of permanent exhibit of the Oegyujanggak Uigwe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최성미 p. 457-482
2020년대 한국 시간여행 드라마 연구 = A study on TV dramas under the theme of time traveling in the 2020s : focusing on <My Perfect Stranger> and <Twinkling Watermelon> : <어쩌다 마주친 그대>와 <반짝이는 워터멜론>을 중심으로 최지운 p. 483-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