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의 목적은 중장년층의 일과 은퇴의 생애개발차원에서 일과 삶의 균형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경력만족과 은퇴준비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통해 중장년층의 일과 은퇴의 생애개발차원에서 일과 삶의 만족을 높이고자 경력개발과 직업교육 맥락에서 바람직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모집단의 확률표집인 층화군집비율 표집을 실시하여 만 45∼59세 중장년층 902명을 대상으로 기술통계 및 정규성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모형 분석, 매개효과 분석 등을 실시하여 연구결과를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일과 삶의 균형은 경력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일과 삶의 균형은 은퇴준비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과 삶의 균형은 삶의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넷째, 경력만족은 삶의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은퇴준비도는 삶의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여섯째, 경력만족은 일과 삶의 균형과 삶의 만족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일곱째, 은퇴준비도는 일과 삶의 균형과 삶의 만족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종합하면, 저출산・고령화 시대를 맞이하여 중장년층의 역할이 중요해졌고, 이를 위해 이들의 생애개발과 경력개발 차원에서 일과 삶의 균형과 경력만족을 통하여 삶의 만족을 추구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청년 근로자가 지각한 주관적 사회적 지위와 괜찮은 일자리 관계 = The perceived subjective social status and decent work among young workers : mediating effects of the work meaning, work volition, and career adaptability : 일의 의미, 일 자유의지,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 최화영, 천영민, 정연순 p. 1-21

검정형과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의 출제기준 일원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examination-based and course-based criteria for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정동열, 오춘식 p. 23-43

디지털전환 시대의 직업훈련 교・강사 역량체계 개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mpetency framework of vocational training instructors in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유다선, 박민주, 정혜경 p. 45-71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중・고등학생의 직업가치 유형 및 영향요인 연구 = A study on the types of career values and influencing factors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latent profile analysis 홍성표, 임한려 p. 73-103

중장년층의 일과삶의균형이 삶의만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work-life balance on life satisfa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satisfaction and retirement readiness among middle-aged people : 경력만족과 은퇴준비도의 매개효과 이종찬, 김민규 p. 105-130

네트워크 분석 및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직업교육 연구 동향 분석 = Analysis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trends using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지준오, 정진철, 이현민 p. 131-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