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공정거래법상 지주회사 규제는 국내 기업집단의 지배구조와 규제환경에 가장 큰 변화를 초래한 요인의 하나이었다. 이 규제의 효과에 대한 그간의 평가는 정부 안팎은 물론 기업집단 측에서도 대체로 긍정적이다. 특히 국내 기업집단 측에서는 지주회사 규제 및 전환의 인센티브가 없었더라면 기대하기 어려운 지배구조의 투명화, 단순화가 실현되었던 점을 가장 큰 성과로 꼽을 수 있다.

그럼에도 지주회사 제도가 여전히 기업집단 규제의 일환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 독자성과 일관성을 동시에 추구해야 하는 복합적 지위, 이 제도를 둘러싼 각종 사전, 사후규제의 상충 가능성 등 제도 보완의 여지가 여러 측면에서 드러나고 있다고 본다. 제도의 혼선 방지와 정합성 제고를 위한 추가적인 논의와 제도 보완이 여전히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지주회사 제도 본연의 순기능과 폐단을 다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 글은 지주회사 규제가 국내 기업집단에 미친 영향을 점검하고 현행 규제를 제도론 및 법리적 관점에서 조망하는 한편 향후 제도개선을 위해 필요한 부분을 모색해보려 하였다. 지주회사 규제의 특징을 규명하고 국내 기업집단에 미친 영향을 점검한 후 현행 규제를 제도론 및 법리적 관점에서 조망하는 한편 향후 제도개선을 위해 필요한 부분을 도출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공정거래법 적용대상과 사업자성 = A study on application of Korean anti-trust law and a character of undertaking : 대법원 2023. 7. 13. 선고 2022두62888 판결을 시작점으로 손동환 p. 3-38

공정거래법상 동일인의 ‘사실상 지배’에 관한 해석기준 = An interpretation of 'de facto control' by the same person under the Korean competition law 이봉의 p. 39-62

공정거래법상 지주회사의 규제 = Evaluation and challenges of holding company regulation under the Fair Trade Act : 분석, 평가 및 전환을 위한 모색 신영수 p. 63-101

공정거래법상 부당한 이익제공행위의 ‘부당성’ 판단에 관한 판례 분석 = A case study on the judgment of 'attribution of undue benefits' in Korean competition law : focusing on the significance and status of the concept of 'concentration of economic power' : ‘경제력 집중’ 개념의 의의 및 위상을 중심으로 조혜신 p. 102-133

불공정거래행위와 자율규제 = Unfair trading practices and self-regulation 박세환 p. 134-158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의 ‘개방형 연결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차별취급 행위의 불법성과 부당성 판단을 위한 경쟁제한성 기준 = Illegality of discrimination in the 'open' online platform service 정주미 p. 159-182

사업자단체의 제한행위에 대한 합리적 판단기준 및 쟁점 = Reasonable judgment standards and issues regarding restrictions on business activities of associations of undertakings 심연우 p. 183-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