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미국 교원양성기관의 교육실습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2028년 전면 도입 예정인 ‘학교현장실습학기제’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미국 4개 대학의 교육실습 운영 사례를 선정하여 분석한 결과 이들 사례에는 주목할만한 특징이 있었다. 첫째는 표준화된 교육실습을 운영한다는 점, 둘째는 실습생에게 반성적 성찰 경험을 제공한다는 점, 셋째는 내실 있는 실습 운영을 지원하도록 현장 감독관을 배치한다는 점, 넷째는 협력적 관계에 기반한 실습이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이러한 분석 결과에 비추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었다. 첫째, 한 학기 실습의 내용 및 방법을 구조화하고 체계화함으로써 실습생, 지도교사, 지도교수 등 실습에 참여한 구성원이 자신의 역할, 책임, 수행 기준 등을 명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한 학기 실습을 고려하여 교원양성 교육과정을 개편함으로써 실습과 현장 간 연계를 제고할 필요하다. 셋째, 교원양성기관 내 실습학기 운영을 위한 전담 부서 및 인력을 확보하여 교육실습이 보다 내실 있게 운영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넷째, 교원양성기관과 실습협력학교 간 협력적 연계를 위하여 구성원 간 정례적 협의회 운영 등 지원 체제 마련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student teaching programs at four U.S.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to inform the full implementation of a school-based student teaching semester system set for 2028. Our analysis identified common features across these U.S. programs, including standardized student teaching, reflective experiences for students, the presence of on-site supervisors, and a foundation in collaborative relationships. Based on these observations, we propose several implications. Firstly, the content and methods of the student teaching need to be structured and systematized. Secondly, it is important to reorganize th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to accommodate the student teaching. Thirdly, the appointment of dedicated staff to oversee the student teaching is crucial. Lastly, establishing a support framework for cooperative partnerships between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and student teaching partner schools is necessary.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예비교사의 인공지능 활용 사회과 수업 연구 = A study of pre-service teachers' demonstr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assisted social studies class 문현진 p. 1-14

A 교육청 기초학력전담교사의 직무수행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job performance experience of a dedicated basic education teacher in A office of education 최은규 p. 15-34

예비유아교사의 인공지능 활용 수업 의도에 미치는 영향 = Factors predicti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tentions to teach artificial intelligence : a study based on expectancy-value-cost theory : 기대-가치-비용 이론을 중심으로 정상준, 문정미 p. 77-88

학교현장실습학기제의 방향과 과제 = Directions and challenges in student teaching : insights based on an analysis of student teaching in the U.S. : 미국 교원양성기관 교육실습 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문민지, 김승현, 최이진 p. 35-52

탄소중립교육과 관련한 초등학교 과학 및 사회과 교육내용 분석 = An analysis of science and social studies education content related to carbon neutr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박종호 p. 53-64

AI 챗봇 활용 영어과 교수설계를 위한 교사 및 학생 요구분석 = A needs analysis of teachers and students for instructional design in English education using an AI chatbot 서소담, 김정렬 p. 65-76

백워드 설계에 기반한 역사수업의 실천과 성찰 = A study on the practice and reflection of history classes based on backward design 남선진, 박현숙 p. 89-102

복잡계 및 시스템 다이내믹스에 관한 물리전공 초임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효과성 탐색 = Exploring the effectiveness of a complex systems and system dynamics-based pre-service physics teacher training program 김형욱 p. 103-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