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디지털 시대에 변화하는 학교교육의 방향성을 고려하여 초ㆍ중등 국악교육 지원을 위한 국립국악원 e-국악아카데미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디지털 시대의 학교교육의 변화 양상을 문헌 연구를 통해 고찰하고, 국립국악원 e-국악아카데미 사이트를 분석하여 콘텐츠 개발 현황 및 학교교육에서의 활용성을 검토해 보았다. 그 결과, 디지털 시대의 학교교육은 디지털 기술에 기반한 학습자 중심 맞춤형 교육의 지향, 미래형 교수ㆍ학습 방법 및 평가 체제 구축을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립국악원 e-국악아카데미는 음악과 교육과정에 근거한 국악 수업 자료, 멀티미디어 국악 교수ㆍ학습 자료, 국악 지도 내용 추출 및 국악 교수ㆍ학습 방법 구안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의 활용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시대에 초ㆍ중등 국악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국립국악원 e-국악아카데미의 방향을 ‘디지털 국악교육 플랫폼으로서 e-국악아카데미의 교육적 기능 강화’로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방향성에 도달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 ‘맞춤형 국악교육지원’, ‘디지털 기반의 국악 수업 지원’의 두 가지 측면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plan to revitalize the National Gugak Center's e-Gugak Academy to support gugak educatio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considering the changing direction of school education in the digital age. To this end, it examines the changing aspects of school education in the digital age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reviews the contents development status and usability in school education by analyzing the National Gugak Center's e-Gugak Academy site.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school education in the digital era emphasizes the orientation of learner-centered customized education based on digital technology and the establishment of futur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systems. In addition, the National Gugak Center's e-Gugak Academy is analyzed to have utility as basic data for gugak teaching materials based on the music curriculum, multimedia gugak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extraction of gugak instruction contents, and design of gugak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a direction to improve the usability of the National Gugak Center's e-Gugak Academy in school education in the digital era as ‘strengthening the educational function of the e-Gugak Academy as a digital gugak education platform.’ And as a concrete way to reach this direction, this study focuses on two aspects: ‘customized gugak education support’ and ‘digital-based gugak class sup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