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

한국 모더니즘의 과학·기술·테크네 : 김기림의 모더니즘 문학론을 중심으로 = Science, technology, and technē of Korean modernism : focusing on Kim Ki-rim's modernist literary theory / 김진희 1

목차 1

국문초록 1

Ⅰ. 모더니즘 시론으로서 '시(詩)의 기술론(技術論)' 2

Ⅱ. 비평어 '기술'의 기원과 예술적 가치 6

Ⅲ. '모던-테크네(modern-technē)'로서 시의 기술론 15

1. 20세기 기술편중주의 시학과 예술의 비인간화 비판 15

2. 시 전체조직의 질서 원리로서 '기술'의 의의 19

Ⅳ. 결론 : 시(詩)-기술(技術)의 융합적 사유와 한국 모더니즘 24

참고문헌 27

Abstract 29

초록보기

본 연구는 김기림의 모더니즘 시론의 핵심이 시의 ‘기술론(技術論)’이고, 해방 이후까지 시와 기술, 예술과 기술 등의 이론을 일관되게 집필해 왔다는 사실을 토대로 김기림의 모더니즘 시론을 연구했다. 시론에서 ‘기술’은 산업화, 기계화되어 가는 자본주의 사회의 변화에 대한 일정한 문학적 수용으로 근대적이고, 진보적인 모더니즘 시의 방법을 의미했다. ‘기술’은 당대 기계적인 산업 시스템을 의식한 용어였으나 한편으로는 기계-기술주의의 비인간화 현상에 대응하는 비평어이기도 했다. 즉 김기림에게 ‘기술’은 고전적 예술론 테크네(technē)와의 접점 위에서 창안된, 인간성과 창작 주체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기교와도 다른 것이었다. 결론적으로 ‘시의 기술론’은 작가의 정신과 인간의 가치가 반영된, 시 전체 조직의 원리로서 현대 예술의 기술론, ‘모던-테크네(modern-technē)’ 시학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해양플라스틱의 횡단-신체성과 지구, 인간, 플라스틱의 시간성 = Trans-corporeality of marine plastics and temporalities of the earth, humans, and plastics 김지혜 p. 7-39

보기
과학은 인간이 될 수 있는가? = Can science be human? : nonhuman brain science and Slavoj Žižek's inhuman reading of the subject of science : 뇌과학의 비인간과 슬라보예 지젝의 비인간적 과학의 주체 독해 김성익 p. 40-72

보기
(The) aesthetic subjectivity and political agency of women and nonhumans in Virginia Woolf’s “The Lady in the Looking-Glass” and “Solid Objects” = 여성과 비인간의 미적 주체성과 정치적 행위성 : 버지니아 울프의 「거울 속의 여인」과 「단단한 사물들」 Park, Shin-hyun p. 73-114

보기
한국 모더니즘의 과학·기술·테크네 = Science, technology, and technē of Korean modernism : focusing on Kim Ki-rim's modernist literary theory : 김기림의 모더니즘 문학론을 중심으로 김진희 p. 116-144

보기
모더니즘론의 탈식민주의적 전환과 그 가능성 = Post-coloniality and coloniality in modernism : historicizing modernism and colonial modernism in recent studies on modern Korean literature : 최근 한국 현대문학 연구에 있어 모더니즘의 역사화 경향과 식민지 모더니즘 최현희 p. 145-176

보기
박성룡 시의 시적 형식 연구 = A study on the poetic formality of Park Sung-ryong's poems : focusing on the poetic words of early poetry : 초기시의 시어를 중심으로 김효은 p. 177-201

보기
<열녀박씨계약결혼뎐>에 나타난 열녀 화소 수용 방식에 대하여 = The appropriation of Yeolnyeo in Yeolnyeo Bakssi Gyeyak Gyeolhondyeon 조혜란, 박혜성 p. 202-234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