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중급 수준의 한국어 숙달도를 보유한 외국인 유학생 대상 한국어 교육 자료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국내 대학에서 수학 중인 중급 수준의 유학생 306명을 대상으로 요구 조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학습자가 중급 수준에 맞는 교재 개발의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있었다. 선호하는 교육 자료의 형태를 조사한 결과 전자책에 대한 선호가 높게 나타나기는 하였으나, 종이책에 대한 요구도 여전히 실재하였다. 또한 교육 자료에 포함되기를 원하는 미디어 유형으로는 영화나 드라마, SNS, 신문 기사 등이 폭넓게 나타났다. 그리고 학습하기를 희망하는 주제를 조사한 결과, 취미, 성격, 학교생활과 같은 중급 수준에서 요구되는 전형적인 일상적인 맥락을 포함해 학문 맥락에서 반드시 익혀야 하는 학문적⋅사회적⋅전문적 주제에 대한 요구도 높게 나타났다. 한편, 학습자들은 어휘와 문법을 위주로 한 언어 지식과 말하기 기능에 대한 높은 요구를 보였으며, 특정 기능에 특화된 교육자료보다는 언어 지식 및 말하기를 위주로 하되 듣기, 읽기, 쓰기 기능도 통합적으로 학습하기를 원하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먼저 다양한 주제와 미디어 유형을 포괄할 수 있는 교육 자료를 개발하기 위해 종이책과 전자책의 교육적 가치를 최대화할 수 있는 교육 자료 개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또한 의사소통 능력 및 학문적 과제 수행 능력을 두루 배양해야 하는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해 언어 지식과 언어 기능을 균형 있게 발달시킬 수 있는 통합 교재로의 개발 방안을 제안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교양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 서⋅논술형 평가 및 피드백 적용 사례 = Case of application of essay-type evaluation and feedback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for liberal arts education : focusing on the basic liberal arts course 'Understanding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 ‘지속가능발전의 이해’ 기초교양 강좌를 중심으로 하민수, 신철균 p. 11-22

메타버스 활용 한국어 수업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 A study on teacher perception of Korean language classes using metaverse : focusing on the change in perception of teachers before and after metaverse education : 메타버스 교육 전⋅후 교사의 인식 변화를 중심으로 조민경, 김소영, 윤영 p. 23-42

일본 대학의 문리횡단⋅문리융합교육 강화 추세와 그 함의 = Trends in science humanities convergence education in Japanese universities and their implications 김성희, 이보경 p. 45-62

교양 교과목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A study on teaching factors affecting learning outcomes in general education : university A's case-based : A 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조한나, 김은예 p. 63-79

대학 교양수업 유형에 따른 교수실재감 및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비교 =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teaching presence and social presence on learning outcomes according to the types of liberal arts classes 정향윤, 이상민 p. 81-96

사범대 학생들의 미래 교육 활용에 대한 인식 분석 = Pre-service teachers' perspectives on the integration of technology in future education : between English education and ethics education majors : 영어교육과 윤리교육 전공의 비교 연구 이두연, 김정덕 p. 97-110

역량 기반 교양 영미고전문학 수업의 교육적 성과 분석 = A study on the educational performance analysis of a competency-based liberal arts classical literature class 김혜경, 배성아 p. 111-126

대학 교양 교육으로서 최승자 시 읽기 = Reading Choi Seung-ja's poetry as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 focusing on the case of university's <Reading poetry> : 대학의 <시 읽기> 강의 사례를 중심으로 윤정화 p. 127-136

대학생의 창작 활동을 위한 자기 발견 글쓰기 효과 및 시사점 = Effects and implications of self-discovery writing for creative activities of college students : focusing on writing across the curriculum (WAC) subjects : 전공 연계 글쓰기(WAC) 교과목을 중심으로 김예슬, 유영만 p. 137-155

음고 표준화 역사의 실천인문학적 함의 = The practical humanities implications of pitch standardization history 전선구 p. 157-167

근원적 인지메커니즘을 통한 인성 상실의 원리 탐구 = An exploration of the principles of loss of character through fundamental cognitive mechanisms 송광한 p. 169-182

중급 수준의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교양한국어> 교육 자료 개발 기초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educational materials of the <General Korean Language> for international undergraduate students in an intermediate level of the Korean language 김민경, 류선숙, 이아름, 심지연 p. 183-196

미디어 영어 수업에 대한 학습자 인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learner's awareness of English class using movies 이은혜 p. 197-208

대학 교양영어에서 자율독서 활동과 독서저널 작성을 활용한 자기주도적 학습의 효과 및 학습자들의 인식 = Learners' perceptions of self-directed learning using self-reading and a reading journal in college general English classes 박태숙 p. 209-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