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고는 관포 박홍미의 생애와 시세계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2장에서는 박홍미의 생애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박홍미는 젊어서부터 뛰어난 文才를 지니고 있었다. 그가 당대 저명한 문장가들인 李植, 權韠, 任錪, 鄭弘溟과 이름을 나란히 했고, 원접사 종사관으로서 「淸江賦」를 지어 명나라에까지 문명을 떨쳤으며, 양양부사 때 지은 응지상소가 賈誼의 치안책에 비유되었던 점은 박홍미의 뛰어난 문재를 의미하는 것이다. 박홍미의 환로생활은 내외직을 두루 거치면서 대체로 무난했다고 할 수 있었다. 다만, 광해군대에는 중앙관직을 중심으로 文才에 비해 낮은 관직을 역임했고, 인조대에는 창원부사, 경주부윤, 삼척부사, 양양부사 등 지방관직을 중심으로 역임하였다. 광해군대에 낮는 관직을 맡은 것은 박홍미가 강직한 성품으로 直諫을 하여 북인정권으로부터 정치적으로 소외되었기 때문이며, 인조대에는 질병이 있어 중앙관직에 오래 머물 수 없었기 때문이다.

3장에서는 박홍미의 시세계를 광해군대와 인조대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박홍미는 광해군대의 정치현실을 강자가 약자를 지배하는 弱肉强食, 매관매직이 성행하는 爛羊의 현실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박홍미는 不正의 현실 속에서도 자신의 소신을 지키며 광해군에게 直諫을 서슴지 않았다. 이러한 강직한 태도는 북인들로 하여금 박홍미를 鷄肋과 같은 존재로 받아들여지게 했고, 그 결과 낮은 관직을 전전하였다. 환로생활에 염증을 느낀 박홍미는 1622년 원접사 종사관의 임무를 마지막으로 귀거래 하였다. 박홍미가 인조대를 바라보는 시각은 긍정적이었다. 그는 인조대를 태평성대로 인식하고 시종신이 되어 군주 옆에서 直諫을 통해 군주를 聖君으로 만들고자 하였다. 그러나 병으로 인해 지방관직을 전전하게 되었고 양양부사 때 얻은 병으로 인해 결국 관직에서 완전히 물러나게 되었다. 박홍미는 관직에서 물러난 후 瑞山에서 한가롭고 평화로운 삶을 詩化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경서유초(經書類抄)』의 간행과 판본(板本) = A study on the publication and its edition of 『Gyeongseo Yucho(經書類抄)』 박철상 p. 9-46

영조 연간 팔도 감사의 서적 간행과 그 성격 = The publ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book of King Yeongjo's annual appreciation of Paldo : overview and gap between public and private publications : 공적 간행물과 사적 간행물의 개관과 간극 김영진 p. 47-79

중국소설 『三寶太監西洋記通俗演義』의 한글 번역본 『西洋記』 = A study on the Korean translationof the Chinese novel [S]anbao-taijian Xiyangji Tongsu-yanyi 유춘동 p. 81-98

이규보의 한시에서 보이는 題壁詩의 양상에 대하여 = A study on the patterns of wall poems in Lee Gyu-Bo's Chinese poems 이희영 p. 99-130

灌圃 朴弘美의 한시 연구 = A study on the Chinese poetry of Gwanpo Park Hong-mi 권혁명 p. 131-167

江華學派 李匡師 家門의 家門文學 계승의 실제적 양상에 대하여 = A study on actual aspect of succeeding family literature by family of Lee Kwangsa family of Ganghwa School 이승용 p. 169-197

19세기 말 서구인의 경판본 소설에 대한 인식 연구 = A study on westerners' perception of Seoul block printed novels in the late 19th century 서혜은 p. 199-244

조선 초 한양 太平館의 건립과 운영 = Construction of Tae'pyeong-gwan(太平館) in the Han'yang Capital during the Joseon Dynasty's early years, and how it was operated 이현진 p. 245-271

『甕算綱目』 연구 = A study of Ongsan Gangmok : awareness of the reality and reform of the 19 century : 19세기 무인의 현실 인식과 개혁 방안 조민제 p. 273-306

주희의 태극론(太極論) 개정에 대한 소고 = A study on Zhu Xi's revision of Taiji theory 정경훈 p. 307-336

공자 생지설에 대한 주희의 교육적 고려 = A educational consideration on Kongzi's Inborn wisdom theory of Zhuxi 황인석 p. 337-365

李富孫의 『易經異文釋』과 項安世의 『周易玩辭』 비교 고찰 = A comparative study of Li Fusun(李富孫)'s Yijingyiwenshi(易經異文釋) and Xiang Anshi(項安世)'s Zhouyiwanci(周易玩辭) 임재규 p. 367-394

일제강점기 친일 유림 단체 대동사문회 연구 = A study on Daedongsamunhoe, a pro-Japanese Confucian group in Japanese colonial era 서정화 p. 395-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