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복원실험에서 수습된 단조박편의 미세조직, 외형적, 성분적 분석을 통해 공정별 단조박편의 특징을 확인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동해 망상동유적 단야로의 조업 특성을 파악하고, 출토단조박편의 효과적인 분류 방안에 대해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복원실험 단조박편의 경우 정련, 단련, 성형 공정의 진행에 따라 두께와 직경이 감소하는 외형적 특징 변화를 확인하였다. 미세조직은 Fayalite와 Wüstite로 구성된 Ⅰ형, 조대한 Wüstite가지배적인 Ⅱ형, 3층 구조의 Ⅲ형으로 구분하였으며 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Ⅱ, Ⅲ형 미세조직이 증가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또한 공정에 따른 광물조성 및 희토류원소 함량의 상대적인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동해 망상동유적 단조박편은 Ⅱ, Ⅲ형 미세조직이 88%의 비율을 보여 초기의 정련 공정보다는 단련 및 성형 공정과 같은 중⋅후반 공정 위주의 조업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성분적인 차이는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았는데 해당 유적의 공정 범위가 넓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적용이 간편한 입도분리 방식으로 분류한 단조박편의 미세조직 분포를 확인해 본 결과 직경이 감소하면서 Ⅱ, Ⅲ형 미세조직 비율이 높아지는 양상을 보임에 따라 직경이라는 인자를 통한 출토 단조박편의 공정 분류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복원실험 단조박편을 통한 동해 망상동유적 단야 공정의 해석 = Interpretation of the smithing process of Donghae Mangsangdong site through hammerscale of restoration experiment 곽병문, 김수경, 홍주현, 김은지 p. 1-14

해남 신덕리 요지 출토 초기청자의 원료 특성과 제작 기술에 대한 과학적 고찰 = A scientific study on the raw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production techniques of early celadon excavated from the Sindeok-ri Kiln in Haenam, Korea 구나영, 김규호 p. 15-29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한 서천 장암진성의 입지조건 및 지형변화 해석 = Interpretation of location condition and topographical changes around the Jangamjinseong Fortress in Seocheon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박준형, 이찬희 p. 30-47

종묘 정전 반자에 사용된 도배지와 청능화지의 재질 특성 분석 = Analysis of material properties of wallpaper and blue-dyed paper used for Banja ceiling at main hall of Jongmyo Shrine 김지원, 정선화 p. 48-59

ER-FT-IR을 이용한 회화물감 종류 해석 = Identification of paint by ER-FT-IR : analysis of paint binder and extender in paint : 전색제 및 체질안료 분석을 중심으로 이나라, 김정흠, 임성진 p. 60-70

서울시 보존유적 실태조사를 통한 모니터링 지표 설정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monitoring indicators through a survey on the status of preserved relics in Seoul 위광철, 김재규, 오승준 p. 71-85

미술품 액자 유리 보호체의 기능 향상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glass protector function in artworks 문희경, 송송이, 범대건, 한경순 p. 86-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