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부모의 자율성 지지가 대학생의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자기결정성 이론에 근거하여 검증하고자 한다. 아울러 이를 실증적 근거로 대학생의 심리적 행복감을 증진하기 위한 실천적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 데도 연구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지역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2023년 9월부터 2023년 11월까지 설문지를 배부하고, 결측치가 없는 289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SPSS 21.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자율성 지지의 수준이 높을수록 심리적 행복감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자율성 지지의 수준이 높을수록 긍정심리자본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긍정심리자본의 수준이 높을수록 심리적 행복감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간접적으로는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심리적 행복감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예비 사회인인 대학생이 자기결정성을 높이고 심리적 행복감을 증진하기 위한 실증적인 근거를 제공해 줄 수 있는 함의가 있다고 본다. 따라서 직접적으로 부모가 대학생의 자율성 지지를 통하여 그들의 긍정심리자본과 심리적 행복감을 증진할 수 있도록 하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적용할 수 있고, 간접적으로는 가족구성원의 자기결정성을 증진할 수 있도록 조력하는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에도 원용할 수 있는 실천적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validate the role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utonomy support and college students’ psychological happiness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The study also aims to explore practical interventions to promote psychological happiness among college students based on empirical evidence. The research method was to distribute questionnaires to college students in Busan Metropolitan City and Gyeongsangnam-do Province from September 2023 to November 2023, and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21.0 and AMOS 21.0 programs based on 289 data without missing data.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higher levels of parental autonomy support we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higher levels of parental autonomy support we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ird, higher level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e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psychological happiness. Fourth, indirectly,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utonomy support and psychological happiness.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providing an empirical basis for enhancing self-determination and promoting psychological happiness in college students, who are pre-socialized adults. Therefore, it can be applied directly to parent education programs that enable parents to promote their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supporting college students’ autonomy, and indirectly to family counseling and family therapy to promote family members’ self-determination.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미혼 초기성인의 외로움, 성인애착, 고독동기에 따른 잠재프로파일과 자기효능감 및 대인관계문제의 차이 = Latent profiles based on loneliness, adult attachment, and motivation for solitude and differences in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problems in unmarried early adults 이솔아, 양혜정 p. 1-29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과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flexibility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school life adjustment of high school students 이지은, 조규판 p. 31-49

부모의 자율성 지지가 대학생의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parental autonomy support on college students’ psychological happiness : validating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검증 김태량, 고수현 p. 51-85

대학생의 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 Relationships among stress, ego-resilience and school adaptation of university students 하수경 p. 87-109

가족임파워먼트가 성인발달장애인의 자립생활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family empowerment on the self-reliance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contribution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 장애인의 긍정적 기여에 대한 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장혜윤, 유영준 p. 111-131

문제중심학습(PBL) 기반 유아수학교육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수학교수효능감, 수학적 태도 및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 Impact of problem-based learning(PBL) based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class on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mathematical attitude,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김지영, 윤진주 p. 133-154

예비유아교사의 학과 적응 어려움에 대응하기 위한 선후배 멘토링 프로그램 지원 요구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demanding support for mentoring program between juniors and seniors in response to the difficulties in the academic adjustmen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원계선, 안미영, 이효원 p. 155-184

사회복지학과 전공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에 대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ajor competency diagnosis tool in th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 focusing on the case of U University : U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임성옥, 이주연 p. 185-215

가스라이팅 관련 범죄기사 분석 = Analysis of crime articles related gaslighting : focusing on text mining and content analysis : 텍스트마이닝과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전명희, 박정아, 이주대 p. 217-239

정신의료기관 환자의 아동기 복합외상 경험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omplex childhood trauma on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in a mental health institution : testing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 dysregulation :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검증 서단비, 조춘범 p. 241-267

의료진과의 커뮤니케이션이 장애인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ommunication with healthcare professionals on the life satisfaction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strength : 가족건강성의 매개효과 김아란, 김한솔 p. 269-288

컬러테라피를 활용한 심리치료 관련 국내 학술지 연구동향 분석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Korean academic journals related to psychotherapy using color therapy 이현미, 이영림 p. 289-309

Establishment of an academic management system for extracurricular activities of universities = 대학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의 활성화를 위한 학사제도 수립 방안 탐색 Kim, Young Jun, Kwon, Ryang Hee p. 311-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