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고려사』는 황제의 역사[本紀]와 신료들의 역사[列傳]을 중심으로 서술된 역사책, 곧 기전체(紀傳體)의 정사(正史)라고 호칭(呼稱)되지만, 황제의 역사는 없고 황제가 분봉(分封)한 제후국(諸侯國) 역사인 세가(世家)가 본기로 대체되었다. 그 사연을 알아보기 위해 고려왕조의 국격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는데, 918년 왕건(王建)이 장군들의 추대를 받아 즉위하여 칭제건원(稱帝建元)하였다고 하지만, 칭왕건원(稱王建元)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이는 고려가 문물제도를 정비할 때 전범(典範)으로 당제국(唐帝國, 618~907)의 경우 광활한 강역(疆域)의 확보, 지배체제의 정비, 사회질서의 안정, 경제의 발달, 전통문화의 융성, 그리고 동서문화의 중심지였다는 점에 의해 황제국의 표본이 되었고, 이로 인해 후일 제국으로 명명되었을 것이다.
이에 비해 고려는 이전 왕조인 태봉국(泰封國)이 교류하였던 오대십국(五代十國, 902~979)의 오월국(吳越國, 907~978)과 민국(閩國, 909~945)의 외교정책을 모방하였던 것 같다. 곧 오월과 민은 당시의 시세의 변화에 따라 칭제건원하다가 약체화되었을 때는 번국(藩國)으로 납공사대(納貢事大)를 행한 미완성(未完成)의 황제국, 또는 소제국(小帝國)으로 존속하였다. 이들의 정치행위를 목도하던 궁예(弓裔), 견훤(甄萱), 그리고 왕건도 십국이 취했던 체제, 외교방식 등을 본받아 내제외왕(內帝外王)의 체제를 표방하였던 것 같다. 그렇지만 13세기 후반 몽골제국의 지배질서 하에 편입되어 제후국으로 강등되었고, 뒤이어 등장한 명제국에도 사대외교를 행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러한 형편으로 인해 명제국(明帝國)에 잘 순치(馴致)된 제후국(諸侯國)을 자처하고 있었던 15세기 조선왕조의 위정자들은 자신들의 현실인식을 『고려사』의 편찬에 당시의 국제적 사정을 그대로 반영시켜 『고려사』의 편찬에서 본기(本紀)를 설정하지 아니하였던 것 같다.
그래서 『고려사』는 본기가 없는 불완전한 기전체의 사서라고 할 수도 있고, 이 약점이 역사 연구에서 강점(强点)으로 작용할 수 있는 사서로 평가될 수도 있다. 곧 제국(帝國)임을 표방했던 중원의 정사[二十五史]에서 인근 국가와의 접촉, 교섭에 대한 각종 사실은 국가, 민족, 지역 등의 호칭(呼稱)으로 열전편(列傳篇, 外夷列傳)에 수록되었는데,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시기의 정리[編年]가 연월(年月), 또는 연도(年度)만이 제시되었고, 일진(日辰)이 표기되지 않았다. 이에 비해 『고려사』는 외이열전(혹은 外國列傳)이 편찬되지 않았기에 인근의 국가, 민족, 상인[客商] 등의 내왕(來往), 접촉, 교류 등이 모두 세가편에 기록되었기에 편년(編年)이 잘 될 수밖에 없고, 그 年月日의 정리에 착오[繫年錯誤]가 거의 없다는 장점이 있다. 그래서 체제상으로 미비한 점이 있는 『고려사』는 당시 사회의 실상을 더욱 명쾌하게 밝힐 수 있는 생산적 결과[効果]도 제공할 수 있다.
또 『고려사』의 가장 특징적인 면의 하나가 여타의 사서에서 볼 수 없는 특정 외교 관계의 사료가 수록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들 외교문서는 당해 왕조의 정사에서는 수록되어 있지 않은 유일한 자료이기에 역사적으로 중요할 뿐만 아니라 발급 시기에 만들어진 구어(口語)로 되어 있어 당시의 언어연구에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다.
그리고 『고려사』는 內陸Asia의 거란, 여진, 몽골족이 발흥(勃興)할 때 그들과 접촉, 교섭했던 사실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어 유목제국으로의 성장 과정을 잘 살필 수 있을 것이다. 이와 함께 지역적으로 멀리 떨어진 남아시아의 인도, 남서아시아의 Arab, Ilkhanate, 남동아시아의 琉球 등과의 국가 차원의 교섭, 승려, 상인, 개인 등의 접촉에서 그 시기가 구체적 명기(明記)된 기사가 수록되어 있기에 여타의 사서(正史)에 비해 우월한 자료로 이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