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20세기 패션세계는 가브리엘 샤넬과 크리스티앙 디오르, 이브 생로랑이 지배했다. 디오르의 ‘벨에포크(Belle Époque)’ 노스탤지어 패션의 대척점에서 샤넬과 생로랑은 젊은 세대를 위한 패션을 창조했다. 여성의 자유와 해방, 사회진출에 적합한 의상뿐 아니라 이의 착장으로 유발되는 자신감 넘치는 ‘태도’까지 하나의 ‘스타일’로 선언되었다. 코르셋 패션과 이에 수반된 유구한 태도인 여성의 자기신체비하 전통을 두 디자이너는 끊어냈다. 샤넬은 부르주아 남성복의 상징이던 블랙을 선택해 여성의 사회진출을 위한 ‘리틀 블랙드레스’로 제시했고, 생로랑은 최초의 여성 파워 슈트인 ‘르스모킹’ 발명으로 심장을 뛰게 하는 에너지와 성적 매력을 선물했다.

샤넬과 생로랑의 생애와 패션은 정부지원이 뒷받침되어 다수의 전기 영화로 제작되었다. 프랑스 관객에게는 집단기억 작업에 동참하라는 초대이며, 글로벌 관객에게는 프랑스 문화의 우수성을 알리고 관련 브랜드의 잠재적 소비자를 확보하는 길이다. 전기 영화화는 인물의 역사화다. 창립자의 생애는 전설로 부활되고 패션왕국은 역사적 정통성을 획득한다. 하지만 살아생전 샤넬과 생로랑은 왕조의 시조로 군림하기보다는 대중과 만나려 평생에 걸쳐 노력했다. 원본과 복제의 구분이 큰 의미가 없는 대중예술의 시대를 연 워홀처럼 스타일 복제를 장려한 샤넬과 중저가 기성복을 생산한 생로랑은 1968 해방운동의 주역인 젊은 세대에게 패션세계의 문을 활짝 열었다. 샤넬과 생로랑으로 인해 엘리트패션과 대중패션의 장벽이 낮아지고 둘을 잇는 교량이 세워진 것이며, 이는 패션역사와 문화사에 의미 있는 유산으로 남았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세형동검문화기 요양지역 소위 ‘연’ 무덤의 출현과 그 배경 = The emergence and background of the Yan tombs in the Liaoyang area during the slender bronze dagger culture period 배현준 p. 85-113

요동지역 초기 비파형동검유적의 신자료 = New excavation materials of the mandolin-shaped bronze daggers relics in the early period of Liaodong area : focusing on the current status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Xinmin Beiwei relics : 신민 북외유적의 현황과 문화성격을 중심으로 오대양 p. 7-45

한반도 초기비파형동검에 대한 초론 = An introduction of the early Mandolin-shaped bronze daggers on the Korean Peninsula 정현승 p. 47-83

공해의 민중사 = People's history of pollution : pollution disasters and anti-pollution movements of South Korea in the 1970s : 1970년대 한국의 공해재난과 반(反)공해운동 고태우 p. 191-237

조선후기 여가탈입(閭家奪入) 논의와 정책의 추이 = Discussion and policies on unlawful occupation of commoners' houses(yŏga t'arip) in late Chosŏn Korea 이신우 p. 149-189

고려 현종대 숙박 시설을 갖춘 사찰의 창건과 그 의미 = The foundation and meaning of a temple with accommodation facilities in King Hyeonjong in Goryeo : 奉先弘慶寺의 客館 廣緣通化院을 중심으로 현종민 p. 117-147

거란의 1차 고려 침입 배경에 대한 추가적 검토 = Additional review of the background of Khitan's first invasion to Goryeo : the road to Khitan-centered international order : 거란 중심의 국제질서로 가는 길 권용철 p. 239-269

20세기 여성을 위한 성해방 기호와 복제패션의 대중화 = The codes of sexual liberation and the popularization of replica fashion for the 20th century women : fashion provocations by Gabrielle Chanel and Yves Saint Laurent : 가브리엘 샤넬과 이브 생로랑의 패션 도발 서이자 p. 307-340

중세 연대기에 나타나는 자연의 징조와 정치적 변동 = Natural signs and political shifts in Sigebert of Gembloux's chronicle concerning the Carolingian Empire period : 시주베르 드 장블루의 카롤루스 제국 시대사 편찬을 중심으로 이혜민 p. 271-306

구석기시대 석기의 표준화와 장착 논의 검토 = Review of lithic standardization and hafting discussion of Paleolithic stone tools : from the perspective of global Paleolithic research : 세계 구석기학 연구의 관점에서 김소영 p. 343-3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