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너지고 있는 大韓民國 산업수도, 울산을 가다
|
이현준
|
p. 36-45
|
|
|
|
"대한민국 '산업수도' 울산 무너지면 한국도 무너진다" : '울산 디스토피아' 저자 양승훈 경남대 교수
|
이현준
|
p. 46-53
|
|
|
|
한국 제조업 중추, 시화·반월공단에 '매물'이 쌓인다
|
구자홍
|
p. 54-65
|
|
|
|
"빈집 고쳐 월 1만 원 임대라니, 더 없나요?" : 충남 청양 빈집으로 사람이 온다
|
정혜연
|
p. 66-73
|
|
|
|
전대 출마는 '포스트 윤석열' 향한 '정치인 한동훈' 홀로서기
|
구자홍
|
p. 74-83
|
|
|
|
"중도가 좋아하는 보수=吳 가야 할 길" : 외연 확장과 보수 결집 사이에 선 오세훈
|
고재석
|
p. 84-91
|
|
|
|
"지역경제·교육 살려야 그 힘으로 '지역의료'가 뿌리내려요" : 종군기자 꿈꾸던 소아응급의 출신 이주영 국회의원 당선인 [인터뷰]
|
이주영 [인터뷰이] ; 정혜연 [취재]
|
p. 92-103
|
|
|
|
"기존 민주당 이념 벗어날 용기 필요… 종부세 폐지해야" : 주류에서 비주류로… 변방에서 길을 찾는 고민정 [인터뷰]
|
고민정 [인터뷰이] ; 고재석 [취재]
|
p. 104-115
|
|
|
|
"한동훈, 당분간 숙고의 시간 가질 때" :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 [인터뷰]
|
안철수 [인터뷰이] ; 고재석 [취재]
|
p. 116-123
|
|
|
|
"이재명 입법 독주 결과는 의회·정당 민주주의 궤멸" : 5선 고지 밟은 나경원 서울 동작을 당선인 [인터뷰]
|
나경원 [인터뷰이] ; 김지영 [취재]
|
p. 124-131
|
|
|
|
"이재명, '야당 존중' 원한다면 尹부터 존중해야" : 여당 최연소 의원 김용태 경기 포천·가평 당선인 [인터뷰]
|
김용태 [인터뷰이] ; 이현준 [취재]
|
p. 132-139
|
|
|
|
세력화 난망하나 문재인·조국·김경수 뭉치면… : '비주류 소수파' 전락, 親文의 불안한 미래
|
김성곤
|
p. 140-147
|
|
|
|
"보수정당 정체성 확고히 하겠다"는 국민의힘, 아직 정신 못 차렸다
|
유창선
|
p. 148-155
|
|
|
|
예측 어려운, 참 이상한 대선 레이스가 시작됐다 : 尹 대통령 잔여 임기 3년
|
윤태곤
|
p. 156-161
|
|
|
|
박정희 다음으로 노무현 좋아하는 새로운 보수의 출현 : '지역구 국민의힘+비례 조국혁신당' 택한 사람들
|
최병천
|
p. 162-167
|
|
|
|
정치 팬덤이 정당 먹어버린 민주당의 비극. 3, '이재명 팬덤' 키우려고 애쓴 윤석열·김건희
|
강준만
|
p. 168-179
|
|
|
|
왜 보수정당은 '양남' 바깥에서 힘을 못 쓰나 : '기득권 극대화' 정치개혁에 부메랑 맞은 국민의힘
|
조귀동
|
p. 180-185
|
|
|
|
이재명 '25만 원 민생회복지원금'? 국가 타락시키는 일! : 극도의 평등 정신은 '독재'로 이어진다
|
노정태
|
p. 186-193
|
|
|
|
대통령 '진짜 정치', 당내 비판 세력 껴안기가 먼저다
|
이동수
|
p. 194-199
|
|
|
|
"지지 세력 분열 자초한 尹정부 위기는 당연지사" : 유재일 정치평론가 [인터뷰]
|
유재일 [인터뷰이] ; 최창근 [취재]
|
p. 200-205
|
|
|
|
"권력의 궤도 이탈 막을 개헌 논의, 어느 때보다 절실" : 헌법학자 김진한 변호사의 제언 [인터뷰]
|
김진한 [인터뷰이] ; 김현미 [취재]
|
p. 206-215
|
|
|
|
민주화 시대 40년, 개인주의와 공동체주의 '창조적 긴장' 切實 : '인간의 조건'과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으로 읽는 21세기 인간학과 실천학
|
김호기
|
p. 216-227
|
|
|
|
"나는 尹 복심 아니라 함께 사선 넘은 동지" : 생환한 '용산 참모' 강명구 경북 구미을 당선인 [인터뷰]
|
강명구 [인터뷰이] ; 고재석 [취재]
|
p. 228-229
|
|
|
|
"문화·예술계 대표해서 표현의 자유 '입틀막' 정부와 싸우겠다" : 문화 평론가→정치인 강유정 당선인
|
이현준
|
p. 230-231
|
|
|
|
'비효율' 정치에 '성과' 중심 기업문화 접목할까 : 삼성전자 사장 출신 고동진 서울 강남병 당선인
|
구자홍
|
p. 232-233
|
|
|
|
"사람 사는 세상 향한 노무현의 못다 이룬 꿈 다시 실현하겠다" : 장인 노무현 이어 26년 만에 서울 종로서 금배지 단 사위 곽상언
|
정혜연
|
p. 234-235
|
|
|
|
"'못 살겠다, 심판하자'는 외침이 통했다" : 대선후보 심상정 누른 김성회 경기 고양갑 당선인 [인터뷰]
|
김성회 [인터뷰이] ; 김지영 [취재]
|
p. 236-237
|
|
|
|
"양극화 해소·중산층 육성 위한 특별법이 목표" : 기재부 엘리트 관료 출신 박수민 서울 강남을 당선인
|
구자홍
|
p. 238-239
|
|
|
|
"불합리한 부동산정책, 과세 제도 개선하겠다" : 보건의료 전문가 서명옥 서울 강남갑 당선인 [인터뷰]
|
서명옥 [인터뷰이] ; 구자홍 [취재]
|
p. 240-241
|
|
|
|
'자치분권 전도사'에서 '저출생 해결사'로 변신?! : 3선 수원시장 지낸 행정전문가 염태영 경기 수원무 당선인
|
구자홍
|
p. 242-243
|
|
|
|
"미·일·중·러 대할 '한국형 외교 전략' 수립에 힘쓰겠다" : 이재명 외교 참모 위성락 당선인
|
이현준
|
p. 244-245
|
|
|
|
"내 1호 법안은 '김건희 특별법', 직접 진상규명할 것" : 대표적 반윤 검사, 이성윤 전북 전주을 당선인 [인터뷰]
|
이성윤 [인터뷰이] ; 김지영 [취재]
|
p. 246-247
|
|
|
|
"대한민국 위기 해법 설계할 민주당의 정도전 되고파" : '찐명 전략기획통' 이연희 충북 청주흥덕 당선인 [인터뷰]
|
이연희 [인터뷰이] ; 김지영 [취재]
|
p. 248-249
|
|
|
|
"당내에 이재명 대표 연임 바라는 목소리 많다" : 여의도 입성한 전직 앵커 이정헌 서울 광진갑 당선인 [인터뷰]
|
이정헌 [인터뷰이] ; 고재석 [취재]
|
p. 250-251
|
|
|
|
초유의 '라인' 사태에 정부 향해 날 선 비판 : 구글 출신 IT 전문가 이해민 조국혁신당 당선인
|
구자홍
|
p. 252-253
|
|
|
|
未完 국민의힘 혁신, 22대 국회에선 이룰 수 있을까 : 前 국민의힘 혁신위원장 인요한 당선인
|
이현준
|
p. 254-255
|
|
|
|
"긍정적·적극적으로 보수답게 밀고 나갈 때" : 보수표 분열된 3파전 뚫은 정연욱 부산 수영 당선인 [인터뷰]
|
정연욱 [인터뷰이] ; 김지영 [취재]
|
p. 256-257
|
|
|
|
"사적 이해관계·특권 내려놓고 공익에 헌신하겠다" : 법률비서관 지낸 '찐尹' 주진우 부산 해운대갑 당선인 [인터뷰]
|
주진우 [인터뷰이] ; 김지영 [취재]
|
p. 258-259
|
|
|
|
"尹 저출생대응기획부는 생색내기… 미래부 신설해야" : 의원이 된 의사·미래학자 차지호 경기 오산시 당선인 [인터뷰]
|
차지호 [인터뷰이] ; 고재석 [취재]
|
p. 260-261
|
|
|
|
"임기 4년 동안 대한민국 미래 40년 먹거리 준비하겠다" : 제약·바이오 업계 신화 최수진 당선인
|
이현준
|
p. 262-263
|
|
|
|
"이재현 회장이 '국가 위해 좋은 일 해달라' 말하더라" : 국회로 간 CJ제일제당 CEO 최은석 대구 동구·군위갑 당선인 [인터뷰]
|
최은석 [인터뷰이] ; 고재석 [취재]
|
p. 264-265
|
|
|
|
"극적으로 출마·당선한 만큼 2배로 뛰겠다" : 기자 출신 민주당 대변인 한민수 서울 강북을 당선인 [인터뷰]
|
한민수 [인터뷰이] ; 정혜연 [취재]
|
p. 266-267
|
|
|
|
조직력·행정 능력 검증된 '리틀 이재명' : 논산시장 3연임 황명선 충남 논산·계룡·금산 당선인
|
구자홍
|
p. 268-269
|
|
|
|
"대한민국 우주산업 미래 열어갈 정책 절실" : 준비된 과학기술 전문가 황정아 대전 유성을 당선인
|
구자홍
|
p. 270-271
|
|
|
|
국민이 국가 지킨 영웅 일상적으로 추모하는 나라 : 핵잠수함보다 중요한 호주의 안보 寶劍 'The Last Post'
|
백승주
|
p. 272-277
|
|
|
|
南北 주도 남북관계 時代, 당분간 오지 않는다
|
이근
|
p. 278-283
|
|
|
|
"K콘텐츠 영향력 키울 수 있는 시장, 바로 중동" : '중동 전문가' 김창모 한국-아랍소사이어티 사무총장 [인터뷰]
|
김창모 [인터뷰이] ; 이세형 [취재]
|
p. 284-291
|
|
|
|
프랑스, 100년 만의 올림픽으로 '빛의 도시' 영광 노린다
|
조은아
|
p. 292-297
|
|
|
|
"갈등과 미움 청산하고, 분쟁과 전쟁 추방하자" :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비전 2025'
|
구자홍
|
p. 298-305
|
|
|
|
오늘은 횡성한우, 내일은 모빌리티 메카, 횡성
|
구자홍
|
p. 316-323
|
|
|
|
성장 비결은 혁신 뷰티테크 & 해외시장 개척 : 에이피알(APR), 법인 설립 9년 만에 매출 5000억 원
|
김지영
|
p. 324-329
|
|
|
|
신약 개발 범주 확대… 미래성장동력 확보 집중 : K-의약품 세계화 이끄는 종근당
|
김지영
|
p. 330-333
|
|
|
|
한국식 비건·기내 와이파이… 시대와 승객 요구에 답하다 : 선진 항공 서비스로 도약하는 대한항공
|
김건희
|
p. 334-337
|
|
|
|
현장 소통 경영으로 '글로벌 톱티어' 도약 견인 : 방경만 KT&G 대표이사 사장
|
김건희
|
p. 338-341
|
|
|
|
한라산 화산암반수 아성, 백두산 용천수가 깰까 : 먹는 샘물 라이벌, 제주 삼다수 vs 농심 백산수
|
김지영
|
p. 342-345
|
|
|
|
우주산업 국가대표도 노린다 : KAI, 방위산업 메이저리거로 부상
|
박세준
|
p. 346-349
|
|
|
|
생산 줄고 수입 늘면 식량안보에 변수 : 우유의 날, 원유 자급률 생각하는 이유
|
고재석
|
p. 350-353
|
|
|
|
천문학적 기업 상속세에 임직원 시름 깊어진다 : LG그룹·한미약품그룹 공통점, 상속세 놓고 갈등 高潮
|
김형민
|
p. 354-359
|
|
|
|
캐스팅보트 쥔 구미현 목적=지분 매각 : 아워홈 남매의 亂, 측근 꼬드김이 원인?
|
김건희
|
p. 360-363
|
|
|
|
성장통 겪고 있는 CJ그룹, 제3의 도약 위해선 기존 사업 간 시너지 必要
|
박주근
|
p. 364-375
|
|
|
|
5년 전 배민에 '일본자본 C사' 소리 듣던 쿠팡, 배달 앱 판도도 바꿨다
|
김민지
|
p. 376-381
|
|
|
|
한화, 김승연 꿈 '한국형 록히드마틴' 마지막 발걸음 뗐다
|
유수진
|
p. 382-387
|
|
|
|
한화생명금융서비스, 업계 자회사형 GA 평가 뒤집다 : "실패 모델" → "대세"
|
김민지
|
p. 388-393
|
|
|
|
'2000억 원' P-CAB 시장 3파전 막 오르다 : 케이캡-펙스클루 양분 구도에 자큐보 참전
|
유수인
|
p. 394-399
|
|
|
|
오세훈 꿈 '2030 한강 르네상스' 사업성·수익성·윤영비용 관건 : 한강 르네상스→그레이트 한강→리버시티 서울
|
김미리내
|
p. 400-405
|
|
|
|
"진실 추구해야 할 공영방송 보도가 정치로 얼룩지고 있다" : 美 공영방송의 추악한 얼굴
|
황장석
|
p. 406-411
|
|
|
|
도곡동에 삼성전자 본사 세우려다 타워팰리스 지은 사연 : 이승한 전 홈플러스 회장 증언下 [인터뷰]
|
이승한 [인터뷰이] ; 허문명 [취재]
|
p. 412-433
|
|
|
|
국가와 국민을 위해 헌신할 정치인은 누구인가 [서평]
|
구자홍 [평]
|
p. 448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