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손들을 향한 약속 : <숲>
|
윤서현
|
p. 12-19
|
|
|
|
<숲> [토론]
|
사회: 전지니 ; 지정발제: 윤서현 ; 지정토론: 정안나 ; [토론]: 김혜정, 박성원, 박연숙, 박예림, 배선애, 변영미, 엄현희, 이성곤, 임재일, 정애란
|
p. 20-32
|
|
|
|
역사적 가정보다 절박한 가상의 외침 : <장막을 걷어라>
|
변영미
|
p. 33-40
|
|
|
|
<장막을 걷어라> [토론]
|
사회: 전지니 ; 지정발제: 변영미 ; 지정토론: 하수민 ; [토론]: 김영은, 김혜정, 박예림, 배선애, 배영한, 엄연희, 이성곤, 이수현, 이진주
|
p. 41-56
|
|
|
|
홀로 남은 인간에게 건네고 싶은 말 : <금수우진전(禽獸宇震傳)>
|
이수현
|
p. 57-63
|
|
|
|
<금수우진전> [토론]
|
사회: 전지니 ; 지정발제: 이수현 ; 지정토론: 채수욱 ; [토론]: 김선애, 김지수, 김혜정, 배선애, 배영한, 엄현희, 우수진, 윤서현, 홍순철
|
p. 64-76
|
|
|
|
무대 위 근현대사와 젠더 : 2023 창작산실 <언덕의 바리>, <아들에게(부제: 미옥 앨리스 현)>를 중심으로
|
전지니
|
p. 77-83
|
|
|
|
<두 메데아> 보이콧 운동
|
홍예원
|
p. 85-90
|
|
|
|
사회적 참사에 대한 연극의 애도 : 기억과 연대와 실천을 위한
|
이유라
|
p. 91-98
|
|
|
|
1970~80년대 마당극 운동의 역사 : 대항적 민족·민중주의와 한국 현대연극/공연사의 확장과 심화
|
박상은
|
p. 100-107
|
|
|
|
2000년대 마당극운동의 공간과 성취 : 사회도 변하고, 운동도 변하고, 연극도 변하는 긴 시간
|
김소연
|
p. 108-122
|
|
|
|
마당극운동 50주년, 새로운 지역연극운동의 모색 : 대전·충청지역 마당극을 중심으로
|
조훈성
|
p. 123-135
|
|
|
|
'흔들리지 않는 꿈'으로 걸어온 길 : 연출가 정안나를 만나다
|
김혜정
|
p. 137-144
|
|
|
|
늘 새로운 것에 도전하는 멋진 언니! : 배우 홍윤희를 만나다
|
배선애
|
p. 145-153
|
|
|
|
극작, 상처를 위로하는 채널 : 작가 이세희를 만나다
|
정애란
|
p. 155-162
|
|
|
|
다시, 쓰기 : <이상한 나라의, 사라>
|
이주영
|
p. 181-185
|
|
|
|
누구나 박수를 받을 수 있다 : <비와 고양이와 몇 개의 거짓말>
|
김유빈
|
p. 186-190
|
|
|
|
여성 서사를 넘어 : <아들에게(부제: 미옥 앨리스 현)>
|
우수진
|
p. 191-196
|
|
|
|
유동(liquid)하는 사회와 쓰레기가 되어 가는 삶 : <집집: 하우스 소나타>
|
박연숙
|
p. 197-206
|
|
|
|
최근 무대가 마음이 아픈 사람을 재현하는 방식 : <키키의 경계성 인격장애 다이어리>, <이상한 나라의, 사라>
|
엄현희
|
p. 207-213
|
|
|
|
스펙터클을 경험하다 : '더 스피어'에서의 <Postcard From Earth> & 태양의 서커스의 <O Show>
|
박슬기
|
p. 214-223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