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를 품은 삼각형 = A triangle embracing trees : Second Chance Library : 세컨찬스라이브러리
|
[글]: 최혜진 ; 진행: 박지윤 ; 사진: 김용성
|
p. 22-31
|
|
|
|
모듈 게임 = The modular game : Fa-brick : 파-브릭
|
[글]: 강예린, 이치훈 ; 진행: 윤예림 ; 사진: 신경섭
|
p. 32-41
|
|
|
|
다채로운 시각과 문화적 경험을 일으키는, 주거와 전시의 결합 = A space that blends the residential and the curatorial to creates a colourful visual and cultural experience : Beomeo Scholar's Accoutrements : 범어 책가도
|
[글]: 김동진 ; 진행: 김정은 ; 사진: 노경
|
p. 42-51
|
|
|
|
덩어리와 틈 = Mass and gaps : Beginners : Big(inner)s : 비기너 : 빅이너
|
[글]: 김동일 ; 진행: 김지아 ; 사진: 노경
|
p. 52-61
|
|
|
|
느슨한 정교함 = Loose precision
|
홍지학, 조윤희
|
p. 64-69
|
|
|
|
건축의 적정함 = The appropriateness of architecture
|
신경미, 신호섭
|
p. 92-99
|
|
|
|
남반구에서 찾은 대안적 건축의 가능성 = Alternative realities for architecture in the Global South : Sharjah Architecture Triennial 2023 [인터뷰] : 2023 샤르자 건축트리엔날레
|
[인터뷰이]: 토신 오시노워 ; 인터뷰: 김보경 ; 사진: 단코 스테파노비치
|
p. 100-107
|
|
|
|
나이브하고 자율적인 건축의 가능성 = The possibilities of naïve and autonomous architecture : fala [인터뷰] : 팔라
|
[인터뷰이]: 레라 사모비치 ; 인터뷰: 김지아 ; 사진: 프란시스코 아센상
|
p. 108-117
|
|
|
|
사사롭고 유익한 : 서준혁, 최세진 : Trivial yet novel : Seo Junhyuk, Choi Sejin [인터뷰]
|
[인터뷰이]: 서준혁, 최세진 ; 인터뷰: 김지아 ; 사진: 윤현기
|
p. 118-123
|
|
|
|
도시 농도 = Thinning phenomenon
|
글: 이장환 ; 진행: 윤예림
|
p. 124-131
|
|
|
|
노들 글로벌 예술섬 설계공모, 여전히 모호한 사업 근거 = Ambiguity reigns : the Nodeul Global Arts Island Design Competition
|
김보경
|
p. 14
|
|
|
|
밀레니엄 힐튼 서울 재개발 사업 변경안, 유명무실한 원형 보존계획 = Changes to the Millennium Hilton Seoul redevelopment project after nominal preservation plan
|
김보경
|
p. 16-17
|
|
|
|
연의생태학습관 = Eco-Space Yeonui
|
글: 조윤희, 홍지학
|
p. 70-77
|
|
|
|
원불교 역삼교당 = Won Buddhism Yeoksam Temple
|
글: 조윤희, 홍지학
|
p. 78-83
|
|
|
|
논현동 근린생활시설 = NNHN73
|
글: 조윤희, 홍지학
|
p. 84-87
|
|
|
|
이촌동 공유오피스 = Ichon Coworking Office
|
글: 조윤희, 홍지학
|
p. 88-91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