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2대 국회 초선의원 의정연찬회 개최
|
국회보
|
p. 4-7
|
|
보기
|
|
김진표 국회의장, 믹타(MIKTA) 국회의장회의 참석
|
국회보
|
p. 8-11
|
|
보기
|
|
‘제76주년 국회개원기념식’ 및 ‘제4회 대한민국 국회 의정대상’ 시상식 개최
|
국회보
|
p. 12-14
|
|
보기
|
|
실천하는 개혁국회로 민심에 부응해야
|
박찬대
|
p. 16-17
|
|
보기
|
|
‘유능한 민생·정책 정당’으로 거듭나 ‘국민이 공감하는 정당’ 될 것
|
추경호
|
p. 18-19
|
|
보기
|
|
오직 국민을 바라보고 민생과 미래의 길을 엽시다!
|
진성준
|
p. 20-21
|
|
보기
|
|
‘국민’만 바라보며 민생 챙기고 희망 드리는 ‘정책정당’ 만들 것
|
정점식
|
p. 22-23
|
|
보기
|
|
청정 자연을 품은 녹색 도시 경기 가평·포천 : 김용태 의원(국민의힘, 경기도 포천시가평군)
|
글: 윤성혜 ; 사진: 김지범
|
p. 24-27
|
|
보기
|
|
대화를 거부한 북한을 협상 테이블에 앉히다 : 위성락 의원(더불어민주당, 비례대표)
|
글: 고영선 ; 사진: 김지범
|
p. 28-29
|
|
보기
|
|
“환경·노동 분야의 최고 전문가” : 한정애 의원(더불어민주당, 서울시 강서구병)
|
글: 윤성혜 ; 사진: 김진원
|
p. 30-31
|
|
보기
|
|
“사람을 대할 때 직업이나 빈부귀천을 따지지 말고 누구에게나 똑같이 잘하라” : 서명옥 의원(국민의힘, 서울시 강남구갑)
|
글: 김현아 ; 사진: 임진완
|
p. 32-33
|
|
보기
|
|
AI 기술을 활용한 산재 예방 방안, 지방 발전을 위한 외국인 정책, 비대면진료 시범사업 과제 등 주제로 토론회 열려
|
국회보
|
p. 34-37
|
|
보기
|
|
양육비 불이행에 대한 제재절차 완화 및 양육비이행관리원 독립기관화 : '양육비 이행확보 및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
|
이지민
|
p. 40-41
|
|
보기
|
|
“22대 국회, 기후위기 해결 위한 정책 제시해야” : ‘기후유권자와 22대 기후국회, 연결과 확장’ 심포지엄
|
글: 김현아
|
p. 42-43
|
|
보기
|
|
북아일랜드의 새로운 출발을 맞아 : 북아일랜드 의회 방문
|
김경원
|
p. 44-46
|
|
보기
|
|
이달의 청원
|
국회보
|
p. 48
|
|
보기
|
|
홀로서기 어려운 자립준비청년 복지 사각지대 해소 : ‘아동복지법’ 일부개정법률[시행 2024. 2. 9.]
|
글: 박민선
|
p. 54-55
|
|
보기
|
|
인공지능의 미래를 바라보는 상반된 시각
|
글: 김진호
|
p. 58-59
|
|
보기
|
|
멀티제너레이션, 대전환의 시작 : 인구충격과 맞바꿀 새로운 부의 공식 [서평]
|
글: 김재혁
|
p. 62-63
|
|
보기
|
|
국회 소위원회 회의록을 통한 회의 공개
|
글: 김정아
|
p. 64-65
|
|
보기
|
|
국회 봉사단체 ‘소나무회’를 소개합니다 [인터뷰]
|
[인터뷰이]: 심은정, 글: 고영선; 사진: 김지범
|
p. 66-67
|
|
보기
|
|
예술과 더불어 인간성을 지키는 최후의 보루, 책
|
글: 이수연
|
p. 72-74
|
|
보기
|
|
사람의 일을 하라
|
글: 조현용
|
p. 78
|
|
보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