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고는 19세기 영국번역가 조지 가디너 알렉산더(George Gardiner Alexander, 1821-1897)가 중국 역사연의소설 『삼국지연의』를 서구의 역사 로맨스 장르와의 유사성 속에서 수용함으로써 창조적으로 변용한 양상에 대해 고찰한다.

알렉산더는 1862년과 1863년에 동탁(董卓)고사와 왕윤(王允)고사 2편을 잇따라 번역해서 런던의 문학잡지 『매주(Once a Week)』에 발표했다. 그는 연환계(連環計) 고사를 번역하면서 『삼국지연의』를 역사적 사건과 인물의 바탕 위에 로맨틱하고 상상적인 요소가 가미된 역사 로맨스로 이해했다.

영국해병대 소장으로 퇴역한 알렉산더는 중국에서 근무할 때 쌓은 중국어 실력으로 번역뿐 아니라 중국관련 저서도 집필할 정도로 학식을 갖춘 재야의 중국학자였다. 중국문학 번역가로서 그는 번역가의 자유로운 개입이 허용되는 번역방식으로 『삼국지연의』를 번역했다. 「사도의 책략」과 「왕완의 운명」에 나타난 가장 두드러진 번역특징은 등장인물의 변화, 의역, 생략과 축약, 첨가, 협비(夾批)의 번역 등이다. 초선과 여포의 이미지를 변화시켰으며, 의역을 사용해서 독자의 이해도를 높였고, 서술의 집중과 사건의 빠른 전개를 위해 생략 및 축약을 가했으며, 새로운 내용을 첨가하여 희극성(喜劇性)을 더했다. 원문의 협비를 선별적으로 번역함으로써 특정 사안을 강조하고, 도덕적 훈계를 일깨우고, 등장인물에 대한 중국평점가의 품평을 전했다.

그의 번역은 2편 모두 제목에서는 사도 왕윤을 주인공으로 내세우고 있으나 실제 번역문에서는 왕윤보다 여포와 초선을 남녀주인공으로 부각시키면서 그들의 사랑에 서술의 초점을 맞추었다. 이로써 왕실의 대의를 도모하는 충신 왕윤의 활약상과 주인에 대한 은혜에 보답하는 가기 초선의 이미지는 약화했고, 반면 약혼녀를 빼앗은 연적에 대한 증오에 불탄 여포의 통쾌한 복수가 부각되었다.

This article examines how the British translator George Gardiner Alexander (1821-1897) creatively transformed the Chinese historical novel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by embracing its similarities to the Western historical romance genre in nineteenth-century.

In 1862 and 1863, G. G. Alexander published two translations of episodes involving Dong-Zhuo and Wang-Yun in London literary magazine Once a Week, which he described it as historical romances. When translating the tales, he interpreted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as a historical romance with romantic and imaginative elements rooted in historical events and characters.

Alexander, a retired Major General in the Royal Marines, was a knowledgeable Chinese scholar who utilized his proficiency in the Chinese language acquired during his time in China not only for translation but also for writing about China. As a translator of Chinese literature, he approached the translation of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with a method that allowed for considerable intervention in the original text. The most notable features of his translations in "A Chapter of Chinese History: The Minister’s Stratagem" and "Romance of Chinese History: The Fate of Wong-Wan" include alterations in characters, paraphrasing, omissions and condensations, additions, and the translation of insertion comments. He changed the image of Diao-Chan and Lü-Bu, employed paraphrasing method to enhance reader understanding, utilized omissions and abbreviations to maintain narrative focus and propel the story forward swiftly. We added romantic comicality using the addition method. Selective translations of the insertion comments in the original text were employed to highlight specific issues, reiterate moral admonitions, and introduce evaluations of the characters.

Although both translations' titles feature Minister Wang-Yun as the protagonist, the translation actually emphasizes Lü-Bu and Diao-Chan as the male and female protagonist, focuses the narrative on their love, rather than Wang-Yun. This weakened the image of Wang-Yun as a loyal subject who sacrificed himself for the royal, and the image of Diao-Chan as a singing girl who repaid her master's favor. Instead, it emphasizes Lü-Bu's revenge on his romantic rival for stealing his fiancée.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중국의 전통문화 재해석과 현대적 활용 = A study on the reinterpretation and use of traditional culture in China : focusing on the culture of worship of Guan Yu in the Minnan region : 閩南의 관우 문화를 중심으로 이민경 p. 1-22

19세기 영국의 『삼국지연의』 번역 = Translation of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in 19th century England : focusing on George Gardiner Alexander's translation : 조지 가디너 알렉산더를 중심으로 김소정 p. 23-47

한・일 언어의 접촉과 어휘 변화의 역동성 = The dynamics of contact and vocabulary change between Korean and Japanese languages 한수정 p. 49-73

말뭉치에 나타난 독일어의 한국어 표기 오류 양상 = The observed error patterns in representing German loanwords in Korean within the corpus 원윤희, 박윤미 p. 75-98

시에 나타나는 이미지 작동 공간의 양상과 의미 = Aspects and meanings of image working space in poetry : based on Jang Jeong-il's poem : 장정일 시를 중심으로 정진경 p. 99-129

김수영 시에 나타난 미적 거리 = Aesthetic distance shown in Kim Soo-young’s poetry 송현희 p. 131-155

이희경과 안공근의 상해임정 모스크바 특사활동 연구 = An special envoy activities of Shanghai-Provisional Government in Moscow by Lee-Hee-Kyung(이희경) and Ahn-Gong-geun(안공근) 신명호 p. 157-179

시진핑 시대, ‘중화 우수 전통문화’의 함의와 발전 방향 = The implications and development directions of Chinese traditional culture under the Xi Jinping administration 김경아 p. 181-203

중국과 프랑스의 교류에 관한 연구 = Research on the exchange between China and France : focusing on exchanges over time : 시기별 교류를 중심으로 이강인, 이정욱 p. 205-230

에도시대(江戸時代) 무사(武士)의 부업(副業)과 장인(匠人)정신의 상관관계 연구 =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 side job and craftsmanship of samurai in the Edo period : centered on the financial situation of samurai families. 1, 무가(武家)의 재정 상황을 중심으로 신종대 p. 231-259

현직 국회의원의 SNS(Facebook) 활용이 재당선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incumbent lawmakers’ use of social media (Facebook) on reelection : a focus on the 21st National Assembly election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를 중심으로 박지원, 정호영, 차재권 p. 261-289

‘인문(人文) 정치’에 대한 시론 = An experimental review of ‘the politics of humanities(人文)’ : in connection with ‘the politics of Rén(仁)’ of the Confucian Analects(論語) and A. Honneth's ‘Kampf um Anerkennung’ : 『논어』에 나타난 ‘인의 정치[仁政]’와 악셀 호네트(A. Honneth)의 ‘인정투쟁’을 연계하여 김민재 p. 291-320

U.S. foreign strategy and multilateral structures on China from diversification to discouragement : multilateral diplomacy perspective Lee Jaeseung p. 321-355

리빙랩의 관점에서 본 시민 주도 지역브랜드 창출 = Citizen-driven local innovation as a living lab project : the case of Hanji in Wonju, South Korea : 원주시 한지 문화산업 사례 하상섭, 신상범 p. 357-396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학습민첩성과 경력준비행동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learning agil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 focused on the Daegu-Gyeongbuk region : 대구·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정홍인 p. 397-420

글쓰기 관련 비교과 프로그램의 운영 현황과 과제 = Operation status and challenges of the writing extra-curricular programs : focusing on universities in Busan : 부산 지역 대학을 중심으로 김양희 p. 421-438

유아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에 미치는 요인 탐색 = Exploring factors affecting early childhood teachers' implement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 focusing on the relative influence of play support capabilities, positive play beliefs, and constructivist learning environment operation : 놀이지원 역량, 긍정적 놀이신념, 구성주의적 학습환경운영의 상대적 영향력을 중심으로 서혜지, 이정화 p. 439-457

보육교사의 개인 및 직무 변인에 따른 근골격계 질환과 건강관리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musculoskeletal diseases and health management according to personal and job variables of childcare teachers 이세나, 김남연 p. 459-482

중국의 유아 다문화교육 연구동향 분석 = Analyzing research trends in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in China 공숙원, 소양적 p. 483-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