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아동기 외상 연구에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아동기 외상 척도(Childhood Trauma Questionnaire: CTQ)의 평균 신뢰도 값을 추정하고 연구 전반에서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 변인을 탐색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9년부터 2023년 11월까지 CTQ의 전체 Cronbach 계수를 제시한 국내 학술지 64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했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척도의 전체 알파 신뢰도는 무선 효과 모형에서 .89(95% CI: .88∼.90)로 나타났다. 둘째, 메타 ANOVA 분석에서는 출소자를 대상으로 했을 때, 온라인 설문으로 했을 때 신뢰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메타 회귀분석에서는 최근에 출간된 연구일수록 신뢰도가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하위척도 알파 신뢰도는 정서적 방임(.91)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신체적 방임(.63)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CTQ의 활용 방안과 시사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했다.

This study aimed to estimate the overall reliability of the Childhood Trauma Questionnaire (CTQ) and to identify moderator variables that influence reliability across various studies. To achieve this,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on 64 domestic journal articles that presented Cronbach’s alpha estimates for the CTQ, covering the period from 2009 to November 2023. The overall Cronbach’s alpha reliability of the scale was .89(95% CI: .88∼.90) in the random-effects model. A meta-ANOVA revealed that reliability was higher when the participants were ex-offenders and when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Meta-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studies published more recently tended to be more reliable. Lastly, the alpha reliability for the subscales varied, with emotional neglect achieving the highest reliability at .91 and physical neglect the lowest at .63. These findings led to a discussion of the implications for using the CTQ and proposals for future research endeavor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상담 수퍼바이저가 수행하는 게이트키핑 과정 탐구 = Exploring the gatekeeping process implemented by counseling supervisors 이아람 p. 373-403

자율성 역량 척도의 개발과 타당도 연구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autonomy competency scale 장재홍, 송해리, 오세미, 허정 p. 405-437

한국판 문제성 음란물 사용(Korean Problematic Pornography Use)척도의 타당화 = Validation of Korean Problematic Pornography Use Scale 우성범 p. 439-462

청소년용 단축형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척도와 사회공포증 척도 (Social Interaction Anxiety & Social Phobia Scale-12 for Adolescent; SIAPS-12-A) 타당화 연구 = Validation of the SIAPS-12-A : a 12-item short form of the social interaction anxiety and social phobia scale for adolescents 김다혜, 이서희, 안정광 p. 463-487

아동기 외상 척도(CTQ)의 신뢰도 일반화 메타분석 = A reliability generalization meta-analysis of the Childhood Trauma Questionnaire (CTQ) 차미영, 김진숙 p. 489-513

한국판 중년 남성의 전문적 도움 추구 방해물 척도 타당화 연구 = Validation of the barriers to Help Seeking Scale for Korean middle-aged men 이해승, 김은하 p. 515-538

한국판 행동적 정서조절 전략 질문지(K-BERQ)의 타당화 =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Behavioral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K-BERQ) 김소영, 김진숙 p. 539-569

상실을 겪은 사람들의 외상 후 성장과 사회적 지지에 대한 상관 메타분석 = Loss-related post-traumatic growth and social support : a meta-analysis 장혜림, 강영신 p. 571-605

청소년의 비자살적 자해가 자살적 자해로 이행 및 중단된 경험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transition from non-suicidal self-injury to suicidal self-injury and cessation in adolescents 박경은, 이동훈 p. 607-637

다변량 분석방법을 이용한 청소년의 비자살적 자해사고 및 자해행동 예측 = Predicting nonsuicidal self-injurious thought and behavior using multivariate analysis 정미림, 이상인, 이영순, 김종완 p. 639-658

초기 주 양육자와의 불안정애착과 성인 불안정애착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ttachment with early primary caregiver and insecure adult attachment :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experiential avoidance and mentalization : 경험회피와 심리화의 조절된 매개효과 곽민주, 정남운 p. 659-687

의과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학업 서열과 자아존중감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ranking and self-esteem in medical and general university students :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elf-concept moderated by contingency of self-worth (superiority) : 우월성의 자기가치감 수반성으로 조절되는 학업 자아개념의 매개효과 홍세미, 연규진 p. 689-714

중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들의 문화적 정체성 형성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A narrative inquiry on the formation of cultural identities of North Korean defector children born in China : focusing on the experiences of two Korean university students with Korean-Chinese fathers : 아버지가 조선족인 두 한국 대학생의 경험을 중심으로 김향화, 남지은 p. 715-746

전문상담 교육실습 내실화 방안 연구 = Enhancing the educational practicum for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 trainees 현아롬, 안하얀 p. 747-775

중국 유학생이 인식한 심리상담에서 도움이 된 요인과 도움이 되지 않은 요인 = Helpful and unhelpful factors in psychological counseling as perceived by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안혜신, 장유진 p. 777-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