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글의 목적은 『동야휘집』의 구성원리와 편찬의식이 구현된 양상을 살피는 데에 있다. 또한 보수적·복고적이라는 평가가 내려진 『동야휘집』을 향한 그간의 평가에 대한 문제까지 함께 논해보고자 한다. 문헌 전재를 통해 성립한 『동야휘집』에 이르러 야담집 편찬자의 적극적 역할이 부각되었지만, 이는 오히려 야담의 고유성을 퇴색시킨 부정적 시도로 지적되었다. 야담의 자생적 변모의 시작점에 위치한 『동야휘집』의 총체적 성격을 밝히려면, 애초에 이 야담집이 목적했던 의도와 그것을 구현시켜 나가는 구체적 방식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필요하다 생각된다.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동야휘집』의 체제상의 특성인 서문과 범례를 살핀 후, 이를 통해 편찬 원칙이 작동하는 두 가지 사례를 검토했다. 모본이 존재하는 이야기를 변화시키는 방식과 외부 문헌인 청대 필기소설 『해탁』의 화소를 인입한 방식이 그것이다. 사육신과 삼학사의 이야기에서는 모본을 변화시켜 방향성을 조정하는 방식으로 서사를 구축해 나가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외부 문헌을 취용함에 있어서는 사실성을 담보한 극적 서사를 동원해 야담 본위의 흥미성을 재고하고, 이야기의 중심이 되는 인물에 얽힌 배경이 정밀하게 반영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정교한 구조 인식에 의한 일화의 조합·변개 정도로 평가된 『동야휘집』의 구성원리가 보다 적극적으로 구현되고 있는 양상이라 할 수 있다.

『동야휘집』 편찬의식에 대한 종래의 평가는 보수적 성향, 유교 윤리의 강조 등으로 요약된다. 그러나 야담이라는 장르가 본래 사대부적 지향을 내포하고, 특히나 『동야휘집』의 편찬자는 확고한 입지의 경화세족이었다는 점 역시 충분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보수적이라는 평가가 내려진 부녀부에 실린 여성 이야기에 담긴 시각은 그것이 단지 편찬자만의 것이 아니라는, 보편성의 차원에서 접근해 볼 필요가 있다. 지극히 단순한 인과응보의 이야기를 되풀이하며 윤리적 이념을 강요하고 있다는 분석은, 선악 보응의 이치를 주요 골자로 하는 이타성에 기반한 서사들이 족출했던 조선 후기의 문학사적 맥락과 이러한 현상이 사회적 배경 속에서 요청된 필요의 산물이라는 점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런 점들을 통해 볼 때, 『동야휘집』은 사대부 편찬자의 시각을 통한, 조선 후기 사회가 직면했던 전 사회적 문제 상황에 대한 문학적 기획이라 볼 여지가 있을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試券의 평점부호 및 그 실제사례 분석 = The rating codes in the ‘answer sheets’(Shi-gwon) and the analysis of its actual cases 김동석 p. 9-46

科擧 落幅紙의 着服과 流通 實態를 통해 본 조선 후기 생활상 = A life history of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through embezzlement and distribution status about Nacpokji(落幅紙) in the late Joseon Dynasty 윤선영 p. 47-84

許筠 산문과 명대 문학의 관련성 재고 = Reconsidering the relevance of Hŏ Kyun’s prose to Ming Dynasty literature : the influence of the former and later seven masters and the creation of strange tales : ‘前後七子’ 및 奇談 창작의 문제를 중심으로 김영연 p. 87-124

17세기 초 시선집 『詩學指南』 연구 = A study on anthology of Chinese poetry, Sihak Jinam in the early 17th century 장연수 p. 125-159

星湖의 西學眞意論과 一系의 西學 認識 = Seong Ho's inner thoughts on Western learning and his disciples' perspectives on Western learning 정민 p. 161-193

「장화홍련전」의 형성시기 및 형성과정 再考 = Re-examination of the formation period and process of “JanghwaHongryeonjeon” : focusing of Park In-su’s version : 박인수본을 중심으로 곽보미 p. 195-226

천혜의 格浦와 그 형상화 = Gift of nature of Gyeokpo and its imagery : focusing on Kang, Sehwang’s ‘Gyeokpo travelog’ and Kang, Heun’s ‘Records of Gyeokpo Temporary Palace’ : 姜世晃의 「遊格浦記」와 姜俒의 「格浦行宮記」를 중심으로 유정열 p. 227-257

「兩班傳」 의론의 재고찰 = Rethinking of Yangban-jeon(兩班傳)’s disscussion : based on context of Pak Chiwŏn’s Myeongnon(名論) : 朴趾源의 政論, 「名論」의 맥락에서 최한영 p. 259-288

『동야휘집』의 구성원리와 편찬의식에 관하여 = The composition principles and the intent of compilation of the Dongyahwijip(東野彙輯) : 편찬의 구체적 원칙과 문학적 기획 의도를 중심으로 이강석 p. 289-329

파주 화석정의 역사와 문화사적 의미 = The chronology and cultural history meaning of Hwaseokjeong of Paju 임영길 p. 331-366

기계 창작 시대 한시를 어떻게 향유할 것인가 = How to enjoy Sino-poetry in the era of generative AI : a critical review of AI for Sino-poetry creation : 한시 창작 AI에 대한 비판적 고찰 지영원, 유인태 p. 367-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