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무용전공 고등학생들의 셀프리더십이 무용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릿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전국에 재학 중인 무용전공 고등학생 28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다중회귀분석과 매개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행동중심전략과 자연보상전략이 활동정체감, 공연자신감, 활동자신감에 정적(+)영향을 미쳤고 건설적사고전략이 부적(-)영향을 미쳤으며 행동중심전략과 공연자신감, 행동중심전략과 활동자신감, 자연보상전략과 활동정체감, 자연보상전략과 공연자신감, 자연보상전략과 활동자신감의 관계에서 노력의 지속성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행동중심전략과 활동정체감, 행동중심전략과 활동자신감, 자연보상전략과 활동자신감의 관계에서 흥미의 일관성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셀프리더십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 방안 모색, 그릿과 무용자신감에 대한 연구의 확대를 시사점으로 도출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전통과 현대를 잇는 리더십 요소 탐색 = Exploring leadership elements connecting tradition and modernity : leadership cultivated as a Dan-Thinking convergence curriculum : 댄씽킹(Dan-Thinking) 융합교육과정으로 함양하는 리더십 임수진 p. 41-54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셀프리더십이 무용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self-leadership on dance confidence in high school students majoring in dance : grit as a mediator : 그릿의 매개효과 김희원, 김형남, 김규진 p. 1-13

무용지도자의 교수유형이 무용전공 예술고등학교 학생들의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dance instructors' teaching styles on the physical self-concept of dance major art high school students 김은지, 김규진 p. 15-26

무용전공대학생이 인식한 동료 간의 관계성지지가 그릿, 회복 탄력성 및 무용탈진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perceived peer relationship support among dance major college students on grit, resilience, and dance burnout 박민화, 최은용 p. 27-38

스트릿댄스 전공 교수자의 교육 전문성이 대학생의 학습 실재감과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the educational expertise of street dance major professor on college students' sense of learning presence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유기용, 이해준 p. 53-62

무용전공자의 이미지 형상화 훈련이 무용수행력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image formation training of dance majors on dance performance : application of integrated analysis : 통합적 분석의 적용 이슬 p. 63-77

조현병 환자의 춤 활동이 자아존중감과 내재화된 낙인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dance activities on self-esteem and internalized stigma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홍혜전 p. 79-89

무용 콘텐츠 연구 동향 분석 = Analysis of dance content the research trends 최은지, 이해준 p. 91-99

워드클라우드를 활용한 국내 무용교육프로그램 분석 연구 = A study on the analysis of Korean dance education programs using WordCloud 조혜원, 김형남 p. 101-109

델파이 분석을 통한 무용 교수자가 인식한 즉흥무용 수업의 창의적 학습전이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reative learning transfer components of improvisational dance classes as perceived by dance instructors through Delphi analysis 손지민, 박혜진, 김영미 p. 111-122

공공무용단의 유튜브(YouTube)콘텐츠 표현유형에 대한 이용자 반응 분석 = Analysis of user responses to the public dance company's YouTube content expression types 김태연 p. 123-140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에 기반한 신체표현 활동의 학습자 유형 연구 = Exploring learner types in somatic expression activities based on Rousseau's naturalistic education 장지선 p. 141-153

장애무용의 실존참여를 통한 공연예술의 확장성 의미 = A study on the meaning of expanability of performing arts through existential participation in disability dance : with focus on the Korea International Accessible Dance Festival :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를 중심으로 정지민 p. 155-1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