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남한과 북한의 국어교육 통합을 위한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서 한글 자모 교육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한글 자모 교육은 공교육의 마땅한 책무라는 점에서 탈분단 시대 이후에도 그 필요성이 더욱 부각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남한과 북한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글 자모 교육 양상을 교육과정과 교과서 차원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때 남한 학습자와 북한 학습자를 이분법적으로 구분하지 않고 출생지, 국어의 지위, 교육 담당 기관 등을 고려하여 남북한 학습자의 유형을 세분화하였다. 이에 따라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만 국한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층위의 남북한 학습자를 고려하여 한국어 교육과정 및 교재와 탈북 학생을 위한 교육과정 등으로 연구 대상의 범위를 넓혔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미래 사회 대비 국어 교사의 전문성 탐색 = Exploring professionalism of Korean language teachers for future society : focusing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paradigms and teacher agency : 교수·학습 패러다임의 변화 흐름 속 교사 주도성 관점을 중심으로 김종윤 p. 7-36

AI 시대의 문법 교수 학습 방법의 모색 = A study on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grammar in AI era 양세희 p. 37-64

현대시의 회화 지향성과 교육 방법 연구 = A study on the visual orientation of modern poetry and educational methods : focusing on the works included in the textbooks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2015 개정 교육과정 『국어』, 『문학』 교과서 수록 작품을 중심으로 강정화 p. 65-98

코로나19 이후 청소년 독자의 독서 실태 변화 분석 = Analysis of changes in reading status among adolescent readers after COVID-19 : focusing on the family literacy and reading environment : 가정의 독서 신념과 독서 환경 요인을 중심으로 김해인, 이창희 p. 99-131

초등학교 6학년의 쓰기 능력 연구 = A study on writing ability of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김경환 p. 133-162

중학생 필자 주도성 검사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writer agency assessment 김세연, 천해주 p. 163-193

한글 문헌을 활용한 국어과 융합 교육 연구 = A study on Korean language convergence education that utilizes Hangeul literature 정은진 p. 195-226

남북한의 한글 자모 교육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Korean alphabet education in South and North Korea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curriculum and textbooks for elementary Korean language education : 초등 국어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정혜현 p. 227-263

세종학당 온라인 진단평가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online diagnostic evaluation test of King Sejong Institute : for Indonesia A Sejong Institute : 인도네시아 A 세종학당을 대상으로 이선현 p. 265-292

체계기능언어학 관점에서의 한국어 학습자 오류 분석 연구 = A study on error analysis of KFL learners based on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조승희 p. 293-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