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장애예술인 문화예술 활동 지원에 관한 지방자치단체 조례 분석 = Analysis of ordinance of local governments on support for culture and artistic activities of artists with disabilities 박주영 p. 1-9
119구급대가 이송한 온열질환자와 기온 간의 시공간적 관계 분석 = Analysis of the time-spatial relationship between heat patients and temperature transferred by 119 emergency medical service unit 박상규, 백준기 p. 11-14
119구급대원의 재난교육, 훈련, 실전경험 실태와 재난대응에 대한 지식, 태도, 자신감 분석 = Analyzing 119 paramedics' disaster education, training, practical experience and knowledge, attitude, confidence in disaster response 임성빈, 양현모 p. 15-22
MZ세대 남녀 집단 간 성평등인식에 대한 영향 요인 연구 =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he perception of dender[실은 gender] equality between men and women in the MZ generation 강상준 p. 23-31
노인의 인지장애가 건강검진 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cognitive impairment on preventive health services among older adults : findings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 : 한국고령화연구패널을 이용하여 강성완, 이원익 p. 33-40
메디컬 스킨케어 서비스 품질과 심리적 효용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medical skincare service quality and psychological effectiveness : focusing on Chinese people : 중국인을 대상으로 장리유, 최혜진, 전종찬 p. 41-49
빅데이터를 활용한 발달장애인 돌봄에 대한 이슈 분석 = Analysis of issues regarding care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using big data 유승희 p. 51-58
여성체육지도자에게 진로장벽으로 작용하는 젠더 불평등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gender inequality as a career barrier for female athletic leaders 오정수 p. 59-66
용인시에서의 노인 존중과 사회적 포용 중요도-이행도 분석 = A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n respect and social inclusion for the elderly in Yongin City 이홍직 p. 67-73

웰니스 연구트렌드 분석 = Wellness research trend analysis : keyword semantic network analysis in 2021, 2022 and 2023 of th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Wellness : 2021년부터 2023년까지 한국웰니스학회지 핵심어 언어네트워크분석 김학준, 한장헌 p. 75-82
임상간호사의 건강관심도와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 연구 =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consciousnes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among clinical nurses :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김세시라, 김은아 p. 83-89
제주도내 장애인생활체육지도자의 직무역할에 대한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the job role of disability sports instructor in Jeju 박수연, 김시원 p. 91-97
중국 대학생이 지각한 피트니스센터의 서비스스케이프와 인적서비스품질이 센터이미지, 고객만족 그리고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the servicescape and human service quality of fitness center perceived by Chinese university students on center image,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양주, 이광수, 허진 p. 99-105
특급호텔 노동조합의 역할이 직무만족, 고용안정 및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Impact of the role of the luxury hotel labor union on job satisfaction, job security, and corporate performance : centered on Seoul-based luxury hotel labor union members : 서울 소재 특급호텔 노동조합원을 중심으로 이원남, 한진수 p. 107-113
한국형 직업 우울의 척도 타당화 = Validation of Korean occupational depression inventory: K-ODI 송한수, 김은정 p. 115-124
뷰티웰니스를 위한 로즈마리 에센셜 오일의 가치성 연구 및 국내 다소비 아로마 에센셜 오일 7종 생리활성 효능 비교 검증 = A study on the value of rosemary essential oil for beauty wellness and comparative validation of physiological activities of seven types of essential oil mostly commonly consumed in Korea 배민규 p. 125-130
20대 직업군인의 특성불안과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뇌파 지표의 활용성 탐색 = Exploring the availability of quantified EEG indicator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anxiety and stress level of professional soldiers in their 20s 이봉준, 심준영 p. 131-138
여성 핸드볼 국가대표 선수의 통증 지표와 기능 지수 그리고 근력 간의 관계 분석 = The correlation analysis of the pain index, function index and muscular strength of female national handball athletes 신세영, 김원중, 김용준 p. 139-144
인구소멸 고위험 지역 노인의 헬스리터러시 수준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health literacy levels of elderly residents in high-risk population extinction areas on quality of life : focusing on Tae an-gun : 태안군을 중심으로 유수환, 김한범 p. 145-150
미술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이 AI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문제점과 해결방안 모색 = Exploring the challenges and strategies for AI integration in art education classrooms 박상규, 신동선 p. 151-155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self-esteem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n resilience of nursing students 정미애 p. 157-164
남자 프로골프대회 경기관람요인이 관람객 재방문의도와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the factors of watching the men's professional golf tournament on the intention to revisit the gallery and the intention of word of mouth 이광용, 임종건 p. 165-171
노인대학 프로그램 참가 초고령 노인의 차이 연령과 노화불안 및 성공적 노화의 관계 = The relationalship[실은 relationship] among senior university program participants' difference age and anxiety about aging and successful aging of the oldest old 이문숙 p. 173-181
노인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digital literacy on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 the mediating effect of loneliness : 외로움의 매개효과 남현주, 이현지 p. 183-189
다층분석을 이용한 보건소 지역별 노인의 헬스리터러시가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 A multilevel analysis of older adults' health literacy on self-rated health by community health center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employment status : 경제활동 여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민석 p. 191-197
미용교육 학습자의 상호작용이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he interaction of beauty education learners on educational satisfaction 전해정 p. 199-205
반려동물 의인화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pet anthropomorphism on subjective well-being : mediating effect of attachment : 애착 매개효과 조수민, 한진수 p. 207-216
산림치유 프로그램 참여자의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자연의 소리 선호도 연구 = Study on natural sound preference by stress level of forest therapy program participants 권은경, 최정기, 박성학 p. 217-222
장애아동 부모가 지각하는 특수체육 지도자전문성이 지속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expertise of adapted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 counseling, and the intention to continue behavior in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 a SEM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seling : 상담의 관계에 대한 구조모형 이승희, 허진영 p. 223-228
중년 여성의 긍정심리자본, 그릿, 건강증진행위의 구조적 관계 =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grit,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in middle-aged women : a focus on participation in lifetime sports : 생활체육참여자 중심으로 서해인, 정미남, 김지태 p. 229-235
청소년의 진로활동참여, 자아존중감 및 진로성숙도의 관계 =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participation in career-related activities, self-esteem, and career maturity 박철홍 p. 237-243
PB 화장품 선택속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product selection attributes of PB cosmetics on purchase intention : moderation effects of product property types : 화장품 속성유형에 따른 조절효과 문채원 p. 245-250